탐방객 늘어 쓰레기·주차난
관리사무소 다음달 토론회
관리사무소 다음달 토론회
한라산국립공원 관람료를 징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는 20일 한라산 보전·관리 방안으로 관람료나 입장료 징수를 추진하기로 하고 다음달 정책토론회를 연다고 밝혔다.
관리사무소 쪽은 한라산국립공원 관람료를 징수해 탐방객의 안전시설과 편의시설 확충 등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한라산 탐방객 수는 2006년 74만5000명에서 지난해 120만7000여명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세월호 참사로 수학여행단이 끊겼지만 중국인 관광객 증가로 탐방객 수가 지난해 수준이 될 것으로 관리사무소 쪽은 전망했다.
그러나 등산객이 급증하면서 등산 성수기인 최근에는 한라산 정상에 오를 수 있는 성판악 코스의 경우 5·16도로 성판악 매표소 주변뿐 아니라 도로를 따라 1~2㎞에 걸쳐 등산객들이 타고 온 차량이 주차장을 방불케 하는 등 탐방로 들머리 주차난과 쓰레기 처리, 환경훼손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도는 한라산이 세계자연유산인 점을 들어 입장료 대신 ‘관람료’를 징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라산국립공원 입장료가 2007년 2월 폐지돼 환경부로부터 연간 8억4000여만원을 보전받고 있어, 입장료를 받으면 환경부 정책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강시철 관리사무소장은 “현재 세계자연유산 지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800~2000원의 관람료를 징수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한라산국립공원도 관람료를 징수할 근거가 있다. 도의회도 꾸준히 관람료 징수 방안을 논의해왔고, 도민 상당수도 한라산 보호를 위해 관람료를 징수해야 한다는 입장인 만큼 전국적으로 의견 수렴을 거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