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서 답변 집중 추궁 당해
관련경력 적다 지적에 “63개월” 주장
최근까지 건설사 고문 ‘관피아’ 논란
관련경력 적다 지적에 “63개월” 주장
최근까지 건설사 고문 ‘관피아’ 논란
에너지 분야 전문성을 두고 논란이 빚어졌던 이성구(65)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내정자에 대한 제주도의회 인사청문회가 27일 열린 가운데 이 내정자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이 내정자를 사장에 임명할지 주목된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박원철)는 이날 이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고 전문성과 경영능력, 도덕성 등을 따지고 청문보고서를 채택했으나 적격·부적격 여부를 적시하지 않은 채 제주도의 판단에 맡겼다.
그러나 이날 인사청문위원들은 대부분 이 내정자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내놓아, 원 지사가 이 내정자를 사장에 임명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됐다. 민선 6기 도정 출범 이후 제주시장과 시장 내정자 등 2명이 낙마한 상태에서 이 사장 내정자마저 낙마하면 원 지사는 도정 수행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임명할 경우에도 사실상 부적격 대상자를 임명했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는 이날 채택한 청문보고서를 통해 “의원들의 질의에 소신 없이 불성실한 답변으로 사장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 총체적 비판이 있었다”며 사례를 열거했다. 도의회는 △청정에너지사업에 한해 환경영향평가제도 및 경관심의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한 것은 필요한 제도의 부정이며 △명예퇴직 뒤 건설업체 상임고문으로 취업해 관급공사를 수주했고 △공무원 재직 시절 사기업의 컨설팅에 임하는 등 윤리의식 부족 등을 지적했다. 사실상 ‘부적격’에 다름없는 ‘부정적’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이 내정자에 대한 논란은 제주도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 원 지사는 취임 초부터 “공기업이나 산하기관의 장들은 능력과 전문성의 철저한 기준을 갖고 해야 한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이 내정자가 에너지 분야 업무를 맡은 것은 40년 가까운 공직 생활 동안 17년 전 1년10개월 동안 제주도청 에너지관리계장을 맡은 게 전부다. 내정될 때부터 이 내정자의 전문성이 문제됐지만, 제주도는 적임자라며 밀어붙였다.
특히 이 내정자는 이날 “풍력발전단지사업에는 환경영향평가나 경관심의 등의 절차가 없어도 된다”는 입장을 밝혀 의원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의원들은 이날 이 내정자를 상대로 공무원 시절 정치후원금 제공, 농지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탈세 의혹 등을 거론하며 매섭게 몰아붙였다. 이 내정자는 지난 6·4 지방선거 때 신구범 도지사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했고, 원희룡 도정 인수위원회에 참여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