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으로 급증
10만여 가구…여성 귀촌 35.3%
“안정적 정착 도울 방안 마련을”
10만여 가구…여성 귀촌 35.3%
“안정적 정착 도울 방안 마련을”
전체 농촌 가구 열 집 중 한 집은 귀농·귀촌한 가구가 차지하는 시대를 맞아 역귀농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김진이 전남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전남지역 귀농·귀촌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전국의 누적 귀농·귀촌 가구는 2000년 1만8798가구(전체 농가의 1.4%)에서 2013년 10만2943가구(˝ 9.0%)로 늘었다”며 “전국적으로 10만가구가 넘고, 전체 농가의 10%에 근접한 귀농·귀촌 가구를 안착시킬 정책들을 수립할 시기가 됐다”고 밝혔다.
귀농·귀촌 가구는 최근 들어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고, 삶의 가치관이 다양해진데다, 자치단체가 앞다퉈 지원을 확대하면서 급격하게 늘었다. 초기에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유(U)턴형이 압도적이었으나, 점차 제이(J)턴형(농촌 출신이 연고가 없는 곳으로 귀농)과 아이(I)턴형(도시 출신의 귀농)이 빠르게 늘어나 56%에 이르렀다. 또 여성 가구주가 차지하는 비율이 귀촌의 경우 35.3%, 귀농의 경우 29.4%를 차지하는 새로운 추세가 눈에 띄고 있다.
하지만 준비 기간 2년 이하가 70.3%에 이르고, 농사 경험조차 없는 이들이 61.7%를 차지하는 상황이어서 몇해 안에 30% 안팎이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역귀농 현상마저 뚜렷해지고 있다. 귀농·귀촌을 권장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농촌으로 돌아온 가구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기가 닥친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대도시의 퇴직 인구를 분산하는 데 농어촌이 비용을 대는 엉뚱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귀농·귀촌하는 가구를 자치단체나 지역사회가 받아들여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발전연구원은 지난 5~10월 나주의 농업기술원에서 과수·화훼 등의 재배기술을 교육받은 81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가구의 희망·유형·나이·애로사항 등을 조사했다. 이 조사에서 준비 기간은 44.4%가 1년 이하, 25.9%가 2년 이하, 11.1%가 3년 이하, 9.9%가 3년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전에 ‘농사지은 경험이 있다’는 38.3%, ‘귀농 관련 교육을 받았다’는 50.6%에 불과했다. 5점 척도로 조사한 귀농 당시 어려움은 마을 분위기 적응(3.12점)과 주민간 관계 형성(3.11점) 등이 첫손가락에 꼽혔다.
전남발전연구원은 △도시민을 위한 5도2촌 마을 조성 △중심을 농업에서 휴양으로 전환 △공동주택 협동조합 설립 △현장형 기술교육 강화 △유기농·팜투어 등 여성 자격증반 개설 △농촌체험관광 아카데미 운영 등을 제안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