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판 의료 복지 논쟁’, ‘공공의료서비스의 시험대’ 등으로 불리며 10년 만에 추진된 경기도 성남시의료원(시립병원) 건립 공사가 첫 삽을 뜬 지 1년이 넘도록 아무런 진척이 없다. 저가 낙찰에다 부실한 시공사를 선정한 데 따른 유탄을 맞은 탓이다.
17일 성남시의 말을 종합하면, 시는 수정구 태평동 옛 시청사 터 2만4829㎡에 23개 진료과, 47개 진료실, 517개 병상을 갖춘 의료원을 짓기로 하고 지난해 11월14일 기공식을 했다. 애초 사업비는 1931억원에 이른다. 시는 이에 앞서 지난해 4월 시공사 공모에 나서 같은 해 9월 ‘울트라건설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당시 시는 입찰 예정가를 1436억으로 정했으나, 울트라건설은 이보다 300여억원일 적은 1131억원에 공사를 따냈다.
이 때문에 낮은 낙찰가에 맞춰 실시설계를 하느라 공사 본계약이 늦어져, 지장물 철거 공사만 끝낸 채 공사가 중단됐다. 게다가 경영난을 겪던 울트라건설이 지난달 7일 법원에 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신청을 하는 바람에 공사가 언제 다시 재개될지도 불투명하다.
법원이 울트라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을 승인하더라도 채권단의 동의를 거쳐야 공사를 다시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런 절차도 통상 6개월 가량이 걸려 2017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한 의료원 건립은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성남시 의료원건립팀 관계자는 “시공사의 법정관리 등으로 사업 차질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은 사실이다. 시가 손해를 보지 않도록 각종 안전장치를 해놨지만, 앞으로의 공사 재개 등 의료원 설립 일정은 법원의 판단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성남시의료원 건립은 2003년 수정·중원구 등 본 시가지 주민 55만명이 주로 이용하던 종합병원 두 곳이 잇따라 문을 닫으면서 시작됐다. 당시 시민단체는 1만8525명의 서명을 받아 ‘시립의료원 설립·운영 조례안’을 냈고, 이 조례는 우여곡절 끝에 2007년 제정됐다. 이후에도 적자 운영에 따른 재정 부담을 주장하는 새누리당과 공공의료 서비스 확충을 내세운 새정치민주연합이 수년 동안 격론을 벌였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