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재정상 부탁”…자율시행
교총 “교무관리 부실화” 거센 반대
일부선 “학생과 소통 등 긍정효과”
교총 “교무관리 부실화” 거센 반대
일부선 “학생과 소통 등 긍정효과”
“교장과 교감 등 모든 교사가 수업하는 게 옳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내년부터 교장도 수업을 맡도록 하겠다고 밝히면서 교육계가 들썩이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연구하는 교장’을 내세워 총력 저지에 나섰다.
이 교육감은 지난달 15일부터 경기도 시·군 교육지원청을 돌면서 “재정 사정이 어려워 부탁드리는데, 교장과 교감이 수업을 일정하게 맡아주면 현장 교사들한테 격려가 되고 학생들에게 큰 스승으로서 힘이 될 것”이라며 ‘수업하는 교장’을 설파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등은 일반 교과를, 중등은 전공 과목 또는 인성교육 등의 특강을 주당 3~6시간 하면 학생들과 교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한발 더 나아갔다.
교총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교총은 지난 17일 낸 성명에서 “‘수업하는 교장’은 교장·교감의 중요 임무인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학과 교무 통할, 관리 소홀을 자초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각을 세웠다. 교총은 ‘수업하는 교장’ 대신 학교 경영자로서 ‘연구하는 교장’을 제시하면서 이 교육감의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조대현 경기도교육청 대변인은 “시행은 완전히 자율적이다”라고 못을 박았다. 또 “교총의 ‘연구하는 교장’을 환영하며 인성교육 특강 등을 통해 교장·교감이 직접 학생들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것도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선 학교는 술렁이고 있다. 교장의 역할을 학교에서 수직적 권력을 지닌 ‘매니저’가 아니라 수평적 조정자인 ‘코디네이터’로 바꿔 학교 문화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주장부터, 자율적으로 시행하라는 것도 완전 졸속이라는 비판까지 다양하다. 경기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2300여곳의 공사립 학교(유치원 제외)가 몰려 있고, 교장·교감만 5000여명에 이른다.
장병문 경기교총 회장은 “학교 현장을 전혀 모르는 정책을 내놓으면서 사전 여론 수렴이나 공청회는 물론 시범실시 등의 합리적 대안도 없었다. 인사와 예산권을 틀어쥔 교육감이 자율 시행하라고 하는 게 강제이지 자율이냐”고 말했다.
반면, 주당 평균 5시간 역사와 일본어 등을 직접 가르치고 있는 고양 상탄초등학교 송병일 교장은 “교사 40명을 상대로 나의 수업 참여에 대한 설문을 했는데, 33명이 찬성하고 5명이 반대하고 2명이 중간 입장이었다. 수업 참여를 통해 교사·학생과 소통하고 학교 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됐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