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눈
대구시가 투명한 사회를 만들겠다며 27일 대구 엑스코에서 대학교 총장, 언론사 대표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회를 열었다. 투명사회를 만드는데 동참하겠다는 서명자 31명의 명단도 발표했다. 이 명단에는 조해녕 대구시장과 신상철 교육감, 노희찬 대구상의 회장 등 경제인, 몇몇 시민단체 대표, 한국 노총 지역본부 의장, 대구변호사회 회장 등의 이름이 보인다.
이들은 지방자치단체와 시의회, 시 교육청, 경제인, 시민단체들이 부정부패를 없애고 투명한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선다는 투명사회 협약안에 서명했다.
투명한 대구 만들기 대회는 국가청렴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부산과 경남에 이어 세번째로 열렸다. 그러나 대구시가 서명을 받고 대회를 열었다고 앞으로 투명사회가 될 지 는 의문이다.
대구시청 앞 마당에는 하루도 쉬지 않고 시민단체와 노동단체들이 시위를 한다. 도심지 수창공원 터 고층 아파트 건설 특혜와 아시아 복지 재단 특혜 의혹도 제기되지만 대구시는 묵묵부답이다. 정부합동 감사반이 나서서 감사를 벌인 뒤 관련 공무원들을 징계하도록 통보했지만 대구시는 자체 인사위원회를 열어 “죄가 없다”며 ‘사면’해주기도 했다.
대구 중앙지하상가 3지구 상인들이 6년째 시위를 하고 있지만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시민들이 앞산을 살려내야 한다며 한목소리로 반대하지만 대구시는 강경 일변도로 앞산 터널 공사를 밀어붙인다.
대구시의회에서는 이덕천 의장이 법원에서 뇌물 2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유죄 선고를 받았지만 여전히 의장 자리를 지키고 있고 신상철 대구시 교육감도 촌지와 불법 찬조금을 없애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궁금하다. 대구 경제계가 과연 투명한 사회만들기에 앞장설수 있을지도 의심스럽다.
대구참여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들은 대구시에서 투명사회 만들기에 동참하자며 서명을 해달라는 제안을 거절했다. 대구참여연대 윤종화 사무처장은 “투명 사회를 만들겠다는 대구시의 뜻은 좋게 받아들인다”며 “그러나 아시아 복지재단 특혜 등 곳곳에서 불거진 비리를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전혀 없는 대구시를 도저히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