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세계평화의 섬’ 10돌 맞아
도지사 “대북·국제인문 교류 확대”
도지사 “대북·국제인문 교류 확대”
제주도가 정부의 ‘세계평화의 섬’ 지정 10년을 맞아 대통령의 제주 4·3 추념식 참석을 요청하고, 대북교류와 국제적 인문교류 사업의 확대 계획 등을 발표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27일 ‘세계평화의 섬’ 지정 10년을 맞아 연 기자회견에서 “제주 4·3 추념식에 대통령의 참석을 정중하게 건의드린다”며 대통령의 4·3 추념식 참석을 공식 요청했다. 그는 “평화의 섬을 이뤄나가기 위해 우선 풀어야 할 일이 제주 4·3이다. 지난해 국가추념일 지정에 이어 4·3 추념식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국민대통합의 새로운 역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지역에서는 지난해 국가추념일 지정을 앞두고 제주도와 4·3유족회 등이 대통령의 참석을 요청했으나 총리가 대신 참석했다. 제주 4·3 추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고 노무현 대통령이 2006년 참석한 것이 유일하다.
그러나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은 지난 6일 4·3유족회 간부들과 한 오찬간담회 자리에서 “4·3 추념일에 대통령께서 참석하도록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자, “대통령이 참석하려면 일부 희생자를 재심의해 4·3평화공원에 있는 일부 위패들을 정리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해 유족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원 지사는 또 이날 발표한 ‘제주 평화의 섬 메시지’를 통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가교로서 대북교류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 특히 ‘북한에 감귤 보내기 사업’과 (해마다 5월 열리는) 제주포럼에 북쪽 대표단의 초청 등이 성사되면 남북간에 경색된 국면을 타개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를 가시화하기 위해 통일부를 비롯한 정부 쪽, 민간기구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지난해 말부터 2010년 이후 중단된 북한에 감귤 보내기 사업을 비롯해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사업’, ‘한라산과 백두산 생태환경 보존 공동협력사업’, ‘제주~북한 평화크루즈라인 개설’ 등을 제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그는 국제적 차원의 인문교류사업의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세계의 다양한 역학구도 속에서 평화와 공존, 번영을 위해서는 인문교류의 확대는 필수불가결한 과제이다. 북한을 포함해 중국, 일본 등을 시작으로 세계적으로 인문교류의 저변을 확대해 유대를 강화해 나가겠다. 관광 중심에서 환경, 교육, 문화, 학술 등으로 교류의 범위도 다변화할 것이고, 올해를 ‘국제적 인문교류의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