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 활용 방안 마련 토론회서
미포~옛 송정역 4.8㎞ 구간에
부산 용역업체, 트램 설계 발표
시민단체 “상업시설 강행 의혹”
미포~옛 송정역 4.8㎞ 구간에
부산 용역업체, 트램 설계 발표
시민단체 “상업시설 강행 의혹”
부산 해운대구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활용 방안을 찾는 설계를 맡은 용역회사가 상업시설 여부로 논란을 빚었던 구간에 철로 위를 다니는 트램이 들어서는 설계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시와 용역회사는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상업화를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상업시설을 강행하려는 것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12일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단체 대표와 교수·주민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옛 철길) 활용 방안을 찾는 토론회가 열렸다.
부산시로부터 설계를 의뢰받은 용역회사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상업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 미포~옛 송정역 4.8㎞ 구간 철로 위에 4.5m 폭의 관광용 트램을 설치하는 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해운대기찻길친구들의 조용우 공동대표는 “토론회가 마련된 것은 상업화를 반대하는 여론이 높자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당시 부산시장 후보자들이 상업개발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썼기 때문이다. 토론회 참가자들이 상업개발을 관철하려는 부산시의 들러리를 서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용역이 부실하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유상욱 부경대 교수는 “후대에 물려주는 것인데 한방에 끝내려고 한다”고 말했다. 서세욱 ‘해운대를 사랑하는 모임’ 대표는 “비싼 용역비를 주고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 부산만이 가질 수 있는 관광시설이 돼야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다. 종합적인 그랜드 디자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기호 부산시 교통국장은 “상업개발을 전제로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 시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으면 진전이 없기 때문에 제시한 것이다. 의결기구는 아니지만 이곳에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방향을 잡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동해남부선 옛 철길은 2013년 12월 사용이 중단됐다.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해운대구 우동 올림픽교차로~기장군 동부산관광단지 9.8㎞ 가운데 올림픽교차로~미포 구간 4㎞는 자전거길과 산책로로 활용하고, 미포~옛 송정역 4.8㎞는 철길과 주변에 상업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전문업체에 기본설계를 맡겼으며, 그 결과는 오는 6월 나올 예정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