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시청과 16개 구·군청 대상
직원 주차비도 인상…실효성 논란
직원 주차비도 인상…실효성 논란
부산시가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공공청사 주차장을 완전 유료로 전환하고, 직원 주차요금도 올리기로 했다. 그러나 공공기관 직원들의 반발과 실효성 논란 때문에 실행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4일 “현재 42%인 부산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2020년 6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의 하나로 오는 7월부터 부산시청과 16개 구·군청, 부산시 산하 공기업 주차장의 부분 무료 이용제도를 없애고, 공공기관 직원들의 주차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공문을 구·군과 부산시 산하 공기업에 보낼 계획이다.
현재 부산시청 주차장엔 차량 1316대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데, 시민은 1시간까지 무료이고 이후 10분마다 300원씩 올라 하루에 최고 8000원을 내야 한다. 부산시청 직원은 시간에 관계없이 하루 1000원이다.
부산시 계획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공공기관 주차장이 완전 유료화되면 부산시청을 찾는 시민은 지금보다 1000원을 더 내야 하는데, 1000원 부담 때문에 자가용을 집에 두고 오겠느냐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거나, 1시간 무료 혜택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부산시는 직원들의 출퇴근 차량이 거리로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선 하루 1000원인 주차요금을 대폭 올려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인상하면 직원 반발이 드셀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곧 꾸려질 부산시공무원노조 새 집행부와 본격 협의를 할 계획이다.
부산시 교통운영과 관계자는 “부산은 도시철도와 버스가 거미줄처럼 잘 연결돼 있다. 자가용 이용 습관을 바꿔보자는 취지에서 공공기관 주차장부터 완전 유료로 전환하려고 한다. 먼저 시행을 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