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비상구역 확대 ‘만민공동회’
“부산시가 돈 때문에 20㎞로 짜맞춰”
“부산시가 돈 때문에 20㎞로 짜맞춰”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에서 반지름 30㎞까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를 촉구하는 만민공동회가 부산에서 열렸다.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되면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주민들이 대피할 공간과 방호약품, 보호복 등을 준비해야 한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고리원전 1호기 폐쇄 양산시민행동은 26일 부산시의회 회의실에서 ‘방사선 방재계획 수립을 위한 만민공동회’를 열었다.
발제에 나선 김유창 동의대 교수(탈원전시민센터장)는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가 고리원전에서 나면 30㎞ 이내에 있는 340만명의 시민이 피난을 해야 하며, 30㎞ 이내엔 400년 동안 사람이 살 수 없을 것이고, 200㎞ 떨어진 대전 이남에는 외부인이 오지 않는 땅으로 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비상계획구역 설정 원칙은 최악 상황을 고려해서 안전하게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부산시는 고리원전 반지름 20㎞가량인 해운대구 좌동 새도시를 빼려 하고, 신고리 3호기에서만 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해서 연구용역을 맡기는 등 억지로 20㎞로 짜맞추려 한다”고 비판했다.
박종권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고문은 “우리나라 방사선 방재계획은 대형사고가 나지 않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다. 비상계획구역을 축소하려는 이유는 돈 때문이다. 제2의 세월호 참사를 겪지 않으려면, 돈보다 안전이 최고 가치라는 것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문화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위한 양산시민행동 공동 운영위원장은 “고리원전에서 양산시 웅상은 12㎞, 통도사는 28㎞ 거리에 있다. 30㎞까지 하면 양산에서 가장 먼 원동을 빼고 다 포함된다. 양산시는 공청회를 널리 알리지 않고 공무원들이 자리를 채운 가운데 열었다”고 폭로했다.
원전 운영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을 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건의해야 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5월21일까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확정해야 한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