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제주대병원서 반대시위
“의료인력 40명, 행정은 100명
환자 안전보다 돈벌이만 추구”
“의료인력 40명, 행정은 100명
환자 안전보다 돈벌이만 추구”
중국 녹지그룹이 제주도 서귀포시 헬스케어타운 사업장에 국내 1호 영리병원을 설립하려는 것에 대해,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제주지역 3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의료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는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제주도에 영리병원 허가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제주대병원과 제주도청 등에서 영리병원 설립을 반대하는 손팻말 시위를 벌이고, 다른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영리병원 도입의 문제점을 널리 알리기로 했다.
이들은 “녹지국제병원이 설립되면 돈벌이를 위한 의료행위로 의료공공성 기본원칙이 무너질 것이다. 법과 제도 또한 영리병원 이익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이들 단체는 “의료인력은 40여명에 불과한데, 행정직원은 100명에 이르는 등 녹지국제병원 인력구조는 매우 기형적이다. 이는 사실상 환자 안전은 포기하고, 환자 유치에만 열을 올리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제주대학교병원이 녹지국제병원과 응급의료 업무협약을 맺은 것도 문제다. 녹지국제병원에서 제주대병원까지 응급환자를 이송하려면 40여분이 소요되는데, 이는 사실상 응급상황을 포기한 것”이라며 제주대병원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녹지그룹은 자신들이 조성하고 있는 서귀포시 헬스케어타운에 47병상 규모의 외국의료기관(영리병원)을 2017년 3월 말 개원하겠다고 제주도에 사업계획서를 냈으며, 이를 검토한 제주도는 지난 2일 보건복지부에 승인을 요청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