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5개 대학교수 529명 성명발표
“영진위, 예산 복원·결정과정 공개를”
예술·시민단체 200여곳 대책위 발족
“영진위, 예산 복원·결정과정 공개를”
예술·시민단체 200여곳 대책위 발족
부산의 대학교수들과 보수 성향 문화예술단체들까지 영화진흥위원회의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지원금 대폭 삭감에 항의하고 나섰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지난달 30일 ‘2015년 글로벌 국제영화제 육성 지원 공모’ 결과를 발표하면서 부산국제영화제 지원액을 지난해 14억6000만원에서 8억원으로 6억6000만원 삭감했다.
부산의 15개 대학교수 529명은 20일 ‘영화진흥위원회는 과연 미래를 담보할 한국영화정책은 있는가’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어 “영화진흥위원회는 삭감한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지원 예산을 복원하고, 삭감 결정을 내린 회의 내용을 공개하라. 성공한 지역 영화제를 더 발전시킬 정부의 문화정책이 무엇인지 밝혀라”고 촉구했다. 또 “부산시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필요한 정부 예산지원 확보를 위해 무엇을 했는지와 삭감된 예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밝혀라”고 덧붙였다.
이들 교수는 “지역문화의 특성을 살려 아시아 최고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를 한국의 대표적 영화제가 될 수 있도록 더욱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한국 문화 융성을 위한 바른길이다. 그런데도 영화진흥위원회가 다른 지역 영화제를 키운다는 형식 논리로 부산국제영화제 지원금을 대폭 삭감한 것은 지역문화진흥정책에 상반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의 문화·예술·시민단체 200여곳은 26일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범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 대책위원회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등 진보·보수 성향 문화예술단체도 포함돼 영화진흥위원회와 문화예술단체의 갈등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남송우 전 부산문화재단 대표(부경대 교수)는 “영화진흥위원회가 겉으로는 한국 영화를 고루 진흥시키겠다고 하지만 부산국제영화제 지원 예산 삭감 결정의 이면에는 다른 무엇인가가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부산시가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내가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지만 영화진흥위원회가 부산국제영화제 지원 예산을 삭감했다는 사실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회로부터) 직접 보고받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