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서병수 시장 협약 깨” 반발
시 “조성 논의 협약…약속깬 건 아냐”
시 “조성 논의 협약…약속깬 건 아냐”
부산시가 동해남부선 옛 철길 구간의 상업화를 최소화하자고 한국철도시설공단에 통보했다. 옛 철길 전체를 원형 보존하자고 요구해온 시민단체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2일 “동해남부선 옛 철길인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 미포~옛 송정역 4.8㎞ 구간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꾸린 교수·전문가·시민단체 및 주민 대표 등 38명의 시민계획단 의견을 반영해, 이 구간의 상업화를 최소화했으면 좋겠다고 한국철도시설공단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출범한 시민계획단이 두 차례 논의를 했는데, 상업개발을 하더라도 최소화하자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부산시 의견은 상업개발을 하지 말고 옛 철길 원형을 보존하자는 시민단체들의 요구와 어긋난다. ‘해운대 기찻길 친구들’ 등 시민단체는 “서병수 부산시장이 지난해 4월 다른 부산시장 출마 예정자 5명과 함께 체결한 공동 공약 협약을 깨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서 시장이 상업개발을 하지 않겠다고 시민들에게 약속하고선 시민계획단을 앞세워 상업개발을 밀어붙이려 한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협약을 깬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홍기호 부산시 교통국장은 “옛 철길의 3분의 1가량은 상업화하고, 나머지는 산책로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부분 상업개발을 한다고 해서 협약을 깨는 것은 아니며, 협약서에는 상업개발을 하지 않겠다는 말도 없다”고 밝혔다. 협약서에 ‘사회적 협의기구를 만들어 동해남부선 옛 철길이 시민의 꿈과 상상력이 배어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고 했으나 ‘상업개발을 하지 않는다’는 문장은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이다.
애초 협약서 원문엔 ‘명품공원으로 만들 것을 약속한다’고 적혔으나, 시민단체들이 협약서 체결 직전 ‘명품공원으로 만들 것을 논의한다’로 바꾸자는 서 후보 쪽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 부분 상업개발의 빌미를 줬다는 비판도 나온다.
동해남부선 부산 해운대구 우동 올림픽교차로~동부산관광단지 옛 철길 11.3㎞ 구간은 양쪽에서 기차가 동시에 오갈 수 있는 복선 철길 건설로 2013년 12월 폐쇄됐다. 관리권자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우동 자이아파트~동부산관광단지 들머리 9.8㎞ 가운데 올림픽교차로~미포 구간 5㎞는 자전거길과 산책로로 활용하고, 미포~옛 송정역 4.8㎞는 철길과 주변에 상업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부산시의 의견을 참조해 상업개발 사업자 공모에 나서 9월께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