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쓰레기·폐그물 해안가 쌓여
연간 2만여t 발생…45%만 수거
280억원 들여 소각시설 등 추진
제주·서귀포시 해양미화원 운영
연간 2만여t 발생…45%만 수거
280억원 들여 소각시설 등 추진
제주·서귀포시 해양미화원 운영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제주도 내 해안가에는 쓰레기들이 널려 있다. 각종 생활쓰레기는 물론 선박에서 버린 쓰레기, 폐그물 등까지 밀려와 바닷가를 오염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처하는 행정기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하다.
9일 제주도의 말을 들어보면, 제주도 내 해안가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2만여t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공공근로요원 100여명을 동원해 수거하는 쓰레기 양은 전체 발생량의 45%인 9000여t밖에 안 된다. 나머지 1만1000여t은 그대로 해안가에 쌓이고 있다.
또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 도내 환경정화업소는 6곳이지만 폐그물은 도내에서 처리하지 못해 다른 지방으로 보내고, 나머지는 소각장 등에서 처리한다.
이에 따라 도는 대량 발생하는 해양쓰레기가 해양관광과 해양산업 발전의 장애요인이라며 수거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전문 처리시설을 건설하는 등 해양쓰레기 종합처리대책을 세웠다.
도는 해양쓰레기가 해류와 조류를 타고 연중 수시로 밀려들고 있는 만큼 일시적인 수거와 처리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올해 하반기부터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60여명씩 해양환경미화원을 운영하기로 했다. 해양쓰레기처리대책협의회도 구성해 정보 관리와 정책 자문 등 역할을 맡도록 했다.
특히 해양쓰레기는 분리수거가 어렵고 염분이 많아 일반쓰레기 처리장에서 처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전문시설인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3년 동안 280억원을 들여 지을 종합처리장에는 소각시설과 재활용 선별시설 등이 갖춰진다. 이어 수거·처리업체의 전문성을 높이고 책임감리제도 도입한다.
이생기 도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을 짓기 위해 내년에 설계비 10억원 등을 국고로 확보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는 등 제주 해안의 골칫거리인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대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