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노인전문병원 노동자들은 40여일째 청주시청 앞에 천막을 치고 노인병원 정상화를 촉구하는 농성을 하고 있다. 23일 노인병원 수탁 예정자였던 청주병원이 수탁 포기 선언을 하면서 노인병원 사태 장기화가 불가피해졌다.
“노조와 교섭 대상자 이견 못 좁혀”
노조 “핑계일 뿐 운영뜻 없어” 반박
시, 10월께 전국 대상 3차공모 계획
노조 “핑계일 뿐 운영뜻 없어” 반박
시, 10월께 전국 대상 3차공모 계획
청주시노인전문병원 수탁 예정자인 청주병원이 수탁을 포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전 수탁자였던 ㅅ병원의 수탁 포기로 폐원된 청주시노인전문병원의 정상화 길은 더 험난하게 됐다.
청주병원은 23일 청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주노인병원을 수탁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돼 청주시와 위·수탁 협약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청주병원은 지난달 26일 청주시의 노인전문병원 수탁 2차 공모에서 수탁 예정자로 결정된 뒤 노조 등과 협의를 해오다 20여일 만에 수탁 예정자 지위를 포기했다. 청주병원 쪽은 “그동안 노조와 만났지만 협의에 이르지 못했다. 교섭 대상자 지정 문제가 컸다. 우리는 현재 노동자만 인정하려 했지만 노조는 상급단체를 끌어들이려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조 쪽은 다른 견해를 보였다. 권옥자 전국공공운수노조 청주시노인전문병원 분회장은 “상급조직인 공공운수노조는 체결식·상견례 등에만 나와 날인·서명만 할 뿐 모든 협의는 노동자 당사자와 한다고 누누이 밝혔는데도 상급노조 핑계를 댔다”고 말했다. 권 분회장은 “청주병원은 애초에 병원을 운영할 뜻이 없었다. 청주시가 환자들을 노인전문병원에서 빼내 다른 병원으로 옮겨 폐원시킬 때도 수수방관했다. 무능한 청주시가 청주병원에 한 달 동안 놀아난 꼴이 됐다”고 덧붙였다.
청주시는 조례 개정과 함께 3차 공모를 계획하고 있다. 청주시 안에 있는 의료기관으로 수탁자를 한정한 조례(청주시 노인전문병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고쳐 전국으로 공모 범위를 넓힐 참이다. 이철수 청주시 노인전문병원 티에프팀장은 “8월께 시의회에 조례 개정안을 낸 뒤 10월께 전국을 대상으로 3차 공모를 해 11월께 수탁 계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현재 폐원 상태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에 대한 고용 승계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조는 즉각적인 3차 공모를 주장하고 있다. 권 분회장은 “병원이 문을 닫아 노동자들이 거리에 나앉았고, 환자들도 타의에 의해 여러 병원으로 분산돼 피해를 보고 있다. 지금 당장 3차 공모를 시작하고, 조례 개정은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주병원이 수탁을 포기하면서 노인전문병원 정상화 길은 더욱 멀어지게 됐다. 청주시노인전문병원은 ㅅ병원이 수탁 포기 선언을 한 지난 3월까지만 해도 환자 140~150여명이 입원·치료를 받았지만 지난 5일 모두 다른 병원으로 분산배치된 뒤 문을 닫았다. 노동자들은 40여일째 청주시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하고 있으며, 날마다 오전·오후 2차례씩 정상화 촉구 집회를 열고 있다.
최진아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국장은 “수탁기관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은 청주시가 사태를 키웠다. 감사원에 노인병원 관련 청주시의 행정감사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인병원 정상화를 위해 시민사회단체·종교계 등이 참여하는 대책위 구성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사진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