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시장, 공기업 대표 선출때
학교동문·고향후배 무더기 임용
시의회 “인사청문회 제도화해야
오늘 임시회의서 공식 제안키로”
학교동문·고향후배 무더기 임용
시의회 “인사청문회 제도화해야
오늘 임시회의서 공식 제안키로”
권영진 대구시장이 지역 공기업 대표에 대학 동문 등을 무더기로 임용하는 데 맞서 시의회 의원이 지역 공기업 대표 인사청문회 제도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원구 대구시의회 의원(새누리당)은 23일 “권영진 시장이 지난해 7월 취임 이후 대구시 출자·출연기관 등 지역 공기업에 관피아, 또는 학교 동문과 고향 선후배 등을 중심으로 보은성 낙하산 인사를 하고 있다. 권 시장의 인사전횡을 막기 위해 반드시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24일 열리는 시의회 임시회의에서 이를 공식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인사청문회 제도는 권 시장의 인사전횡을 막고, 지역 공기업의 인사채용 관행을 실력 위주 채용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개혁안”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밝힌 인사청문회 대상은 대구시설관리공단과 대구도시철도공사, 대구환경공단, 대구도시공사 등 지역 공사·공단 4곳을 비롯해 대구청소년지원재단, 대구문화재단, 대구여성가족재단, 대구오페라하우스재단, 대구테크노파크, 대구경북연구원, 대구신용보증재단, 대구의료원, 대구교통연수원 등 대구시에서 예산 지원을 해주는 기관·단체 등 모두 15곳이다.
권 시장은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때 산하기관에 낙하산 인사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데 이어 취임 직후에는 대구도시공사 등 공기업 4곳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뜻을 밝힌 적이 있다. 하지만 이후 대구시는 “상위법에 근거가 없어 인사청문회를 도입할 수 없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서상우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현재 국회에서 청문회법 논의를 하고 있는 중이다. 법이 통과되면 그때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의 이런 태도와는 달리 전북과 제주도는 조례를 정해 인사청문회 제도를 시행 중이며, 광주, 인천, 경기, 대전, 전남 등 시·도에서도 의회와 협약을 통해 인사청문회를 실시하고 있다. 서울과 부산은 인사청문회 제도 도입을 놓고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권 시장은 지난해 7월 취임 직후 대구테크노파크 원장,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 대구교통연수원장 등 지역 공기업 대표를 대학(고려대) 동문들로 임명해 곳곳에서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또 대구시 공무원 인사 등에서도 특정 지역을 우대해 반발을 사기도 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