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시민단체 등이 경북 상주 지주조합 등이 추진하고 있는 문장대 온천 개발과 관련해 정부의 갈등 중재 역할을 촉구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 충북지역 시민단체와 시민 등이 참여하고 있는 문장대 온천개발 저지 충북범도민대책위원회는 21일 충북도청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경북 상주 지주조합과 경북도, 상주시는 무모한 문장대 온천 개발 사업을 백지화하라. 정부는 장기간 갈등 문제에 수수방관하지 말고 정부 차원의 공익사업을 발굴하는 등 갈등 해결을 위한 중재 조정자 역할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문장대 온천을 둘러싼 경북 상주지역과 충북의 갈등은 26년을 거슬러올라간다. 지난 1989년 경북 상주지역 지주조합이 문장대 온천 개발을 추진하면서 지역간 갈등이 시작됐다. 경북 상주지역 지주조합 등은 충북 괴산 등과 닿아 있는 경북 상주시 화북면 운흥·중벌리 일대 95만6천㎡에 온천·숙박·골프 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들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사업이 필요하며, 최신 공법을 활용하면 환경훼손도 줄일 수 있다는 태도다. 하지만 충북지역은 문장대 온천이 개발되면 온천 폐수 등이 충주권의 상수원인 달천·신월천 등으로 흘러 들어 수질 저하, 수생태계 교란, 환경훼손 등이 불가피하다며 개발을 막고 있다.
두 지역 주민, 환경단체 등은 법정 다툼까지 벌여 2003년과 2009년 대법원까지 간 끝에 허가가 취소되면서 갈등이 일단락 되는 듯했다. 하지만 경북 상주지역 지주조합이 지난 6월 대구지방환경청에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를 요청하는 등 사업 재추진에 나서면서 해묵은 갈등이 되살아났다.
지난 20일 대구지방환경청이 환경영향평가 협의에서 ‘반려’ 결정을 내렸지만, 경북 상주시와 지주조합 쪽은 절차상의 하자 등을 보완한 뒤 사업 재추진 움직임을 보이는 등 개발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충북 범대위 쪽은 “환경영향평가에서 ‘부동의’ 처리해 사업이 백지화됐어야 하지만, 반려로 문장대 온천 개발 제동이 걸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강 영향권인 서울·경기 등 전국으로 민·관·정 공조 관계를 확대해 문장대 온천 개발을 막겠다”고 밝혔다.
이날 충북도의회도 보도자료를 내어 “경대수 새누리당 국회의원 등이 발의한 온천법 개정 법률안이 통과돼 문장대 온천 개발이 백지화되도록 지역 출신 국회의원 등과 노력하겠다. 서울시의회와 공조체계를 형성해 문장대 온천 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청주/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