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 교육부 항의방문 등 큰 반발
청주대 2년 연속 부실대학 오명에
시민단체까지 나서 대책 마련 분주
충북도립대·영동대 등도 긴급회의
청주대 2년 연속 부실대학 오명에
시민단체까지 나서 대책 마련 분주
충북도립대·영동대 등도 긴급회의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무더기 하위 등급을 받은 충청·강원지역 대학과 지역 사회는 초상집 분위기다. 지역 거점 국립대인 강원대가 하위 등급을 받았으며, ‘한수 이남 최고 사학’을 자처하던 청주대는 2년 연속 ‘부실 대학’ 오명을 썼다. 강원지역은 한중대·상지대·상지영서대·강원도립대, 충북은 극동대·영동대·충북도립대 등이 부실 대학에 선정됐다. 이들 대학은 정부 재정지원이 제한되고, 정원 감축 등 구조 개혁에 나서야 한다. 평가 점수에 따라 일부 대학은 학자금 대출도 제한돼 학생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지역 거점 국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하위 등급을 받은 강원대는 신승호 총장이 사퇴 의사를 밝히는 등 개교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신 총장은 교육부의 평가 결과 발표에 앞서 지난 28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강원대는 31일 평가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교육부를 항의 방문해 항의문을 전달하고 재평가를 촉구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강원대는 교육부 항의 방문에서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총장 직선제 전환과 삼척캠퍼스 분리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며 “더이상 정부 정책의 희생양이 되지 않겠다”고 교육부를 압박했다.
김도경 강원대 대외협력본부장은 “대학의 명예와 자율성 회복을 위해 교육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이 있을 때까지 재학생과 졸업생, 지방자치단체, 도내 시민단체들과 연대해 강력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청주대가 2년 연속 부실 대학으로 선정되자 학내는 물론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도 시민대책위원회 구성에 나서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송재봉 충북엔지오센터장은 “2년 연속 부실 대학으로 전락한 것은 총장 등 대학 경영진의 무능 탓이다. 대학이 학생·교수 등 구성원들과 건강한 합의를 한 뒤 대학의 새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면 청주대는 공멸의 길로 간다. 청주대 살리기 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본격적으로 청주대 관련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청주대 총학생회는 오는 15일 오후 4시 대학에서 학생총회를 열기로 하는 등 대학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박명원 총학생회장은 “이른바 ‘김-황 총장 라인’(김윤배 전 총장-황신모 현 총장)이 무너지지 않는 한 청주대는 영원히 부실 대학 꼬리를 뗄 수 없다. 부실 대학 책임을 물어 등록금·적립금 반환 소송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처음으로 부실 대학 오명을 쓴 충북도립대뿐 아니라 영동대, 극동대 등 충북지역 대학들도 이날 오후 일제히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김원기 충북도립대 기획협력팀장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와 놀랍다. 학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혁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