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개발
나머지 43%는 태양광·지열로 채워
에너지공사가 풍력발전 사업 맡아
온실가스 294만t 줄이는 효과 기대
나머지 43%는 태양광·지열로 채워
에너지공사가 풍력발전 사업 맡아
온실가스 294만t 줄이는 효과 기대
제주도가 2030년까지 제주지역 전체 전력량의 57%를 육·해상 풍력발전으로 대체하기로 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을 확정했다.
제주도는 2일 ‘탄소 없는 섬’의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도내 전체 전력수요를 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공공 주도의 풍력개발 투자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을 보면, 도는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대기업의 투자와 수익의 도외 유출, 무분별한 개발과 경관 훼손 등을 막기 위해 풍력발전 사업을 공공 주도의 개발로 전환하고, 풍력개발 지구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지방공기업인 제주에너지공사에 맡기기로 했다.
도는 2030년 제주지역의 전력사용량을 113억㎾h로 추정했는데, 이 가운데 57%인 66억㎾h를 풍력으로 대체하고, 나머지 47억㎾h는 태양광, 연료전지, 지열발전 등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풍력의 경우 육상풍력은 이 기간에 450㎿로 늘리기로 하고, 현재 운영하거나 추진중인 300㎿를 뺀 150㎿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육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주민참여개발을 촉진하기로 했다. 마을회와 향토기업, 제주에너지공사가 개발에 참여하도록 해 대기업 위주의 개발을 제한할 방침이다.
해상풍력은 이 기간 1600㎿가 개발된다. 도는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는 해상풍력의 경우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제주에너지공사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3㎿급 풍력발전 1기의 건설비용은 육상이 45억~50억원, 해상은 60억~70억원 수준이다. 이번 계획의 해상풍력발전사업 비용만 11조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도는 국내 풍력발전산업과 도내 유지보수기업 육성을 위해 국내산 풍력발전기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또 도내 전력수요 감소 때 각 풍력발전소의 출력을 제한하기 위해 풍력발전단지별 출력제어시스템을 구축하고, 배터리를 이용한 저장장치(B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한편 도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다른 지방으로 역송전할 수 있는 양방향 해저연계선을 애초 계획보다 3년 앞당긴 2022년까지 설치해주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도는 계획대로 풍력발전 개발사업이 이뤄지면 온실가스(이산화탄소) 294만t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제주도내 전력사용량은 46억㎾h이며, 이 가운데 6.5%인 3억㎾h가 신재생에너지로 대체됐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