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립 시장, 기자와 통화내용 밝혀야”
시민단체 “회유·협박 여부 철저수사를”
‘권언유착 폐해 신고센터’ 본격 가동
시민단체 “회유·협박 여부 철저수사를”
‘권언유착 폐해 신고센터’ 본격 가동
제주지역 일간지 기자의 제주시청 국장 폭행과 뒤이은 국장 투신 사건과 관련해 김병립 제주시장이 기자와의 통화 내용을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무원노동조합과 시민단체들은 ‘권언유착 폐해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도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제주본부,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은 10일 제주도청 제2청사 전공노 사무실에서 ‘권언유착 폐해 신고센터’ 개설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건의 본질이 단순 폭력, 협박 사건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를 계기로 행정과 언론의 잘못된 관계를 청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제민일보> 현아무개(42) 기자의 백광식(57) 제주시청 도시건설교통국장에 대한 폭행과 뒤이은 백 국장의 투신 사건을 수사해온 경찰은 지난 3일 현 기자의 백 국장 폭행을 인정해 기소 의견(협박 및 상해 혐의)으로 검찰에 사건을 넘겼다.
문제는 경찰의 수사 과정에서 현 기자가 폭행 사건이 일어난 지난달 19일 밤 이후 같은 달 23일 새벽 백 국장의 투신 직전까지 김병립 제주시장과 6차례에 걸쳐 통화한 사실이 새롭게 드러난 데 있다. 현 기자는 김 시장뿐 아니라 김태환 전 지사, 다른 공무원 등과도 통화했다.
김 시장은 백 국장의 투신 다음날 간부회의 자리에서 “현재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여러가지 이야기에 대해서는 사법당국이 조사중에 있다. 공직자 신분을 망각하지 말고 이런저런 말을 옮기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며 입조심을 당부했다. 그러나 김 시장은 동료 고위 공무원의 투신으로까지 이어진 이번 사건에 대해 검찰 송치 일주일이 지난 10일 현재까지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청 차원에서 사건의 경위를 알아보겠다고 해야 할 시장이 공무원들의 입단속만 지시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 가해자와 6차례나 통화한 시장은 당연히 통화 내용을 공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공무원노조와 시민단체연대회의 등은 이날 “사법적 판단을 떠나 전직 도지사와 현직 고위 공무원까지 어떤 식으로든 관여했다는 정황이 드러났으므로 그 과정에서 회유나 협박은 없었는지 진실이 명백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공무원노조는 현 기자가 강창용 전공노 본부장을 고소한 데 대해 무고 혐의로 맞고소하기로 했다. 현 기자는 지난 3일 경찰이 폭행사실을 인정해 검찰에 송치하기로 한 날, 백 국장과 강 본부장을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바 있다.
한편 제주도기자협회는 9일 낮 운영위원회를 열어 현 기자에 대한 징계를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자진 탈퇴함에 따라 더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