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최초로 육성계획 발표
사업비 2조…2017년 10% 전환
“환경적·경제적 가치 높아질 것”
사업비 2조…2017년 10% 전환
“환경적·경제적 가치 높아질 것”
제주도가 2030년까지 제주도 내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바꾸는 것을 뼈대로 하는 전기차 육성 계획을 확정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전기차 육성 계획을 세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6일 제주도가 발표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2015-2030) 종합계획’은 단계별, 연도별 전기차 보급 일정 및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 전기차 이용 활성화, 연관 산업 육성 등의 정책과제를 담고 있다.
단계별 전기차 전환계획을 보면, 1단계로 2017년까지 공공기관 및 대중교통 중심으로 도내 운행차량의 10%인 2만9000대를 전기차로 바꾸고, 2단계인 2020년까지 대중교통과 렌터카 등을 중심으로 40%인 13만5000대, 3단계 2030년까지 100%인 37만7000대를 보급 목표로 정하고, 이를 구체화한 연도별 전환계획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승용차 및 사업용 자동차의 전기차 전환 △가격인하 유도 △전기차 보급으로 인한 차량 증가 억제를 위해 폐차 등 말소등록 △타지역으로의 매매 때 우선 보급제도 도입 △대중교통과 차량 공유 사용 활성화 정책 등을 펼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완속충전기 7만1000대와 급속충전기 4000대 등 개인충전기와 공공·민간 유료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도 세웠다.
이와 함께 △제주 전기차 특구 조성 △민간 유료 충전 서비스 △전기차 배터리 리스 사업 등 전기차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전기차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전기차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콜센터 운영 △전기차 주간 운영 등 통합서비스 마련과 인식 개선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밖에 전기차 보급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공동주택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해 각종 법령과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전담조직도 확충할 계획이다.
전기차 전환에 들어가는 총사업비 2조549억원의 재정투자계획도 마련했다. 국비 1조2831억원과 도비 4517억원 등 공공부문 1조7348억원, 민자 3201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박홍배 제주도 경제산업국장은 “종합계획을 토대로 전기차 보급과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 2년 주기로 보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주기적인 추진상황 점검, 재정투자에 따른 사전절차 이행으로 국·도비를 확보해 나가겠다. 이 사업을 통해 경제활성화는 물론 환경·경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