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시민단체, ‘네트워크’ 창립
“공존·연대의 경제생태계 조성” 밝혀
“공존·연대의 경제생태계 조성” 밝혀
제주지역 공공기관과 경제·시민·종교·소비자단체 등이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나눔운동’을 펼친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 제주장애인인권포럼,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제주지역 38개 공공기관과 단체는 21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사회적 기업 활성화 제주네트워크’를 창립했다.
제주네트워크는 창립선언문을 통해 “사회적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토양을 만들고 상호배려와 사회연대의 정신으로 공생의 가치가 발현되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또 “사회적 기업은 다수의 빈곤층과 함께 일자리를 만들고 부를 나누며 공존과 연대의 경제를 만들어갈 주체”라며 “정부, 기업, 시민사회, 사회적 기업 및 관련 단체들이 파트너십에 기반해 사회적 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우호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운영규정에서 사회적 기업의 자립 및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관련 제도와 정책에 관한 모니터링과 연구활동을 벌이는 한편 사회적 기업을 통한 지역재생과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을 개발하고 확산시켜나가기로 했다. 또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외 사회적 기업 및 관련 기관들과의 교류·협력 활동 등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사회적 기업의 성장을 위해 △공공기관과 시민사회의 지혜와 자원을 함께 나누는 나눔운동 △도민들의 의식개혁 및 생활실천운동 △더 나은 지역사회를 위한 공동체운동 △도민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범도민적 운동 등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이들은 올해 △윤리적 소비문화 확산 및 사회적 경제 조직 제품 구매 캠페인 △사회적 경제 확산을 위한 교육·홍보활동 △‘1기관 1사회적 경제 조직’ 자매결연 캠페인 △사회적 경제 정책의 모니터링 및 정책 개발·제안사업 △모금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지역에서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은 기업은 축산물가공과 환경, 방문요양 서비스, 친환경 농산물 제조 및 가공판매 등 모두 36곳이며, 예비 사회적 기업은 43곳이다. 사회적육성법에 따른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