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 참여자들이 22일 오전 제주시 노형오거리 녹지그룹 제주사무소 앞에서 영리병원 추진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제주도청까지 삼보일배를 하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의료공공성 후퇴·민영화 시초 될 것”
제주도에 국내 1호 영리병원 설립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중국 녹지(뤼디)그룹과 제주도에 영리병원 설립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의료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는 22일 오전 제주시 노형동 녹지그룹 제주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윤이 목적인 주식회사의 본질상 영리병원이 설립되면 의료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의료계조차 영리병원이 의료 공공성을 후퇴시키고 민영화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데 큰 이견이 없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제주도 내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꾸려진 이들은 중국 녹지그룹에 대해 “제주도에 진출할 당시 제주도민과 친구가 되겠다고 했다. 제주도민과 친구가 되겠다면 영리병원 철회가 우선이다”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은 원희룡 제주지사에 대해서도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공공의료정책과 관련해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지사가 ‘법에 규정돼 있으니 어쩔 수 없다’는 것은 자기합리화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참석자 30여명은 녹지그룹 제주사무소 앞에서 제주도청까지 2시간 남짓 영리병원 설립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삼보일배를 진행했다.
앞서 원 지사는 지난달 26일 도정시책공유 간부회의에서 “48개 병상을 가진 조그만 외국인 투자 병원이 무슨 대한민국의 건강보험체계를 흔들고, 의료비 폭등을 가져오느냐. 일부 사항을 갖고 침소봉대하는 식의 논리에 공직사회가 분명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시민사회단체의 영리병원 반대 주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제주도는 보건복지부의 승인 여부와 별도로 지난 7월 녹지그룹이 서귀포시 제주헬스케어타운 부지 내 추진중인 외국인 영리병원 의료시설에 대한 건축 허가를 승인했다.
녹지그룹은 제주헬스케어타운 내 2만8163㎡의 터에 778억원을 들여 성형외과·피부과 등 4개 진료과목에 48개 병상 규모의 녹지국제병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