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수돗물 사용량 확인을 통해 빈집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해 관심을 끈다.
부산시는 25일 수돗물 사용 정보를 이용해 빈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빈집 정보 시스템 용역결과가 다음달 나오면 즉각 활용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빈집 정보 시스템은 주택의 상수도 사용량을 바탕으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빈집인지, 빈집이 어디에 있는지, 얼마 동안 비어 있었는지, 빈집들이 얼마나 모여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여섯 달 이상 수돗물 사용이 없는 주택을 방문해 빈집 여부와 위치 및 빈집으로 방치된 기간 등의 정보를 입력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부산시는 찾아낸 빈집을 깨끗하게 바꿔 저소득층이나 청년의 공동 주거공간으로 사용하는 등 공적 재산으로 활용하거나 빈집이 범죄 온상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철거할 방침이다. 또 범죄 예방을 위해 경찰청에 빈집 정보를 제공하고 경찰청으로부터 범죄 발생 우려지역에 대한 정보를 받아 빈집이 있는 골목에 방범등과 폐회로텔레비전(CCTV)을 설치하기로 했다.
빈집 정보 시스템은 지난 3월 국민심사단 100명의 투표에서 ‘2015년 정부 3.0 50대 선도과제’에 선정됐다. 지난 17일 부산시가 주최한 정부 3.0 경진대회에선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정정규 부산시 도시정비과장은 “빈집은 사유재산 관리 개념을 넘어 공공 안전과 직결되는 공적 관리대상이다. 빈집 정보 시스템은 골칫덩이였던 빈집을 공적 자산으로 보고 획기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범죄를 예방하고 빈집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