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지사 “보류 정책 재검토”
인구급증·부동산값 급등 탓인 듯
도 “올해안 주민의견 수렴 절차”
인구급증·부동산값 급등 탓인 듯
도 “올해안 주민의견 수렴 절차”
제주도가 도시의 평면 확산을 막고 균형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택지개발을 보류한 지 8년여 만에 택지조성 검토에 들어갔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일 오전 열린 정례직원조회에서 최근의 인구 증가와 부동산 가격 급등과 관련해 “택지개발 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주거문제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과거 인구 감소 추세 시절에 보류했던 택지조성과 관련해 본격적인 택지공급계획과 주택공급정책을 다듬어 내놓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2007년 제주광역도시계획 수립 때 제주시내로 인구가 집중되고 택지개발 자체가 제주시내에 집중되자 당시 계획됐거나 시행중인 택지개발사업을 제외하고는 도시의 평면 확산을 막고 균형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택지조성을 지양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제주시 아라지구(2007~2014년)와 노형2지구(2007~2014년)가 지난해 사업이 끝났고, 현재는 제주시 화북사업지역 도시개발사업만 남아 있는 상태다.
원 지사가 이날 택지조성과 주택공급정책을 검토하겠다는 발언은 최근의 인구 급증과 부동산 가격 급등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제주도가 2007년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할 당시 제주도의 인구는 56만명으로, 2025년 제주도의 상주인구를 66만명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2013년 60만명을 넘어선 이후 제주도 인구는 지난 8월말 현재 63만명을 돌파한 상태다. 최근에는 하루 평균 1000명 이상의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인구의 증가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등 주택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제주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분양가 기준)은 1억8245만원으로 1년 전 1억6082만원에 견줘 13%나 올랐다.
택지개발사업은 제주도가 도시계획에서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한 뒤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이나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 형태로 추진된다. 지난해 5월부터 도시재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 제주도는 내년 6월까지 계획을 최종 확정하게 된다.
강용석 제주도 국제자유도시건설교통국장은 “인구의 급증과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택지개발사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 올해 안으로 주민설명회나 공청회 등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