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명예교실’ 대체할 공간
체육관내·정문·후문 인근에 추진
땅값 배로 뛰는 등 어려움 맞아
경기교육청 “합리적 안 협의”
체육관내·정문·후문 인근에 추진
땅값 배로 뛰는 등 어려움 맞아
경기교육청 “합리적 안 협의”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의 교실 존치 문제를 해결하라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경기도 교육청이 별도의 추모관 건립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추모관 계획 부지 등의 땅값이 배로 뛰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13일 경기도 교육청의 말을 종합하면, 세월호 참사 이후 추모 공간으로 유지중인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의 명예교실 10곳을 대체할 공간 마련에 나서고 있다.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의 교실을 동기들인 현재의 3학년생이 졸업하는 내년 1월11일까지 보존하겠다고 도교육청이 밝힌 시한이 다가오는데다, 다음달이면 내년도 신입생 12학급 300명을 모집하기 때문이다. 올해 혁신학교로 지정된 단원고는 신입생이 입학하면 최소 8개 이상의 교실 공간이 부족해진다.
도교육청은 이에 따라 신축 예정인 학교 내 다목적 체육관에 추모시설을 마련하거나 학교 정문 인근 또는 후문 쪽 공간에 2학년 교실을 옮겨 희생자들의 추모 공간을 마련하는 등의 세가지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러나 다목적 체육관 신축안 경우, 교육부로부터 53억원의 예산을 받기로 했으나 매입 예정인 학교 옆 야산의 사유지 땅값이 애초 4억원에서 8억여원으로 갑절 이상 뛰면서 부지 매입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시설 내 추모 공간을 조성하려면 교육부 승인을 얻어야 하지만 다목적 체육관이라는 용도 특성상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학교 정문 인근에 20실 규모의 추모 공간을 지어 옮기는 방안은 해당 부지가 시유지여서 안산시와의 협의를 필요로 하고, 학교 후문 쪽 추모 공간 조성안도 사유지(210㎡) 매입을 전제로 하는데다 ‘어렵게’ 부지를 확보한대도 추모 공간으론 부족할 전망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단 훌륭한 학교를 만드는 게 단원고 피해 학생들의 추모에 가장 잘 부합하지만, 1년6개월이 되도록 실종자는 물론 선체 인양도 안 됐고 세월호 특조위마저 흐지부지한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2학년 교실을 폐지할 수는 없다. 빠른 시일 안에 합리적 안을 도출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현재의 단원고 1·2학년 재학생 학부모들은 “2학년 교실을 명예 졸업식 때까지만 존치한다는 약속 이행”을 요구중인 반면, ‘4·16세월호 가족협의회’와 전교조 경기지부 안산지회, ‘세월호문제해결을 위한 안산대책위’ 등은 단원고 교실 존치와 교육감의 직접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