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초·중·고 학부모회 회장들이 15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내년도 중학교 의무급식(무상급식)비 지원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 김광수 기자
학부모회 간부들 시청앞서 집회
“초·중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해야”
“초·중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해야”
부산의 학부모들이 내년부터 중학교 의무급식(무상급식)을 요구하며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를 압박하고 나섰다.
부산의 초·중·고 학부모회 회장과 운영위원 100여명은 15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중학교 의무급식 시행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급식도 교육이다’라고 적힌 노란색 종이를 손에 들고 의무급식에 소극적인 부산시와 부산시의회에 “내년도 중학교 의무급식 예산을 편성해서 통과시켜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헌법 31조에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의무교육 기간인 초등 6년과 중등 3년 동안에는 무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산의 중학생 급식비는 1인당 1년에 60만원가량인데 자녀가 두 명이면 120만원가량 학부모들이 부담해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는 시설투자나 환경개선사업 등을 핑계로 의무급식을 미루지 말고 내년부터 중학교 의무급식비를 지원하라”고 촉구했다.
이정진 동주여중 학부모회 회장은 “교육은 차별이 없어야 하는데 다른 도시는 중학교 의무급식을 하고 부산은 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 중학교는 의무교육인데 왜 부산은 의무급식은 하지 않느냐”고 따져 물었다.
또 학부모들은 의무급식 문제를 정치적 논리로 접근하는 것을 경계했다. 최영경 부산시 학교 학부모 총연합회 회장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0곳이 중학교 의무급식을 하고 있다. 중학교 의무급식을 하지 않는 지역이 제2의 도시인 부산을 비롯해 경상도에 왜 몰려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중학교 의무급식을 시행하기 위해 지난해 부산시에 ‘중학교 1년 의무급식비 일부를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부산시는 거부했다. 부산시의회도 부산시가 중학교 의무급식비를 편성하면 전액 삭감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부산시교육청은 내년에 또다시 중학교 1학년 의무급식을 추진하고 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