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광주전남행동이 20일 오전 11시 전남 무안군 삼향읍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의 추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제공
3개 도 50여개 시민단체 연대 나서
“전남 구례·전북 남원·경남 함양서
케이블카 추진은 산중 4대강 사업”
“전남 구례·전북 남원·경남 함양서
케이블카 추진은 산중 4대강 사업”
정부의 설악산 오색지구 케이블카 승인 이후 전남·북, 경남 등 지리산권의 시민단체들이 지리산을 지키려는 공동행동에 나섰다.
지리산권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공동행동)은 20일 전남도청과 전북도청에서 동시에 기자회견을 열어 “지리산권 3개 도의 50여개 시민단체들이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을 케이블카 개발로부터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지난 16일에는 경남도청에서 같은 내용의 회견이 열렸다.
이들은 “지리산권에선 구례가 산동온천~종석대 3.1㎞, 남원이 운봉~바래봉 2.1㎞, 함양·산청이 백무동~장터목~중산리 10.0㎞ 구간의 케이블카를 또다시 추진하고 있다”며 “2012년 환경성·공익성·경제성이 없다는 환경부의 판정을 받은 만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환경부는 노선을 단일화하면 검토하겠다고 불씨를 지폈고, 홍준표 경남지사와 이낙연 전남지사, 송하진 전북지사는 사업에 동의하거나 정부에 종용하는 등 기대심리를 부추겼다”고 비판했다. 이어 “시민들이 나서서 이들 단체장들의 행동과 발언을 감시하고 견제하겠다. 케이블카를 반대하는 홍보·서명·대화·답사 등을 펼치고, 개발보다 보존이 지역에 유리하다는 실증적 대안도 내놓으려 한다”고 밝혔다.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케이블카는 산으로 올라간 4대강 사업이다. 설악산에 이어 지리산이 무너지면 전국 33곳의 명산들이 케이블카 광풍에 휘말리게 된다. 시민단체들이 지리산을 지키기 위해 소지역주의를 버리고 굳건히 연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공동행동은 지난 17일 설악산 다음은 지리산 차례라는 위기감 속에 출범했다. 이 단체에는 지리산권 시민사회단체 협의회와 지리산 생명연대를 비롯해 광주·전남, 전북, 경남의 시민환경단체 50여곳이 참여했다. 이 단체는 이날 지리산 노고단에서 발표한 선언문을 통해 “정부는 법률도, 가이드라인도, 국제적 비난도 모두 무시한 채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을 승인했다. 환경부가 지리산에도 케이블카 1곳을 검토할 수 있다며 혼란을 부추기고 있지만 3개 도 주민과 야생 동식물의 보금자리인 지리산을 케이블카에 내주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