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기무사령부 해킹사건 피해자였던 조선대 기광서 교수의 전자우편(이메일)을 누군가 또다시 해킹하려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대 정치외교학과 기광서 교수(52·북한현대사 전공)는 31일 “자신의 이름으로 등록된 학술지 <동북아연구>의 이메일을 6차례 해킹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며 광주동부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기 교수는 “포털인 다음으로부터 지난 23~29일 이 계정에서 6차례 ‘로그인 차단 기능’이 실행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차단 기능을 뚫고 해킹에 성공한 경우도 있을 수 있어 생각에 수사를 의뢰하게 됐다”고 밝혔다.
기 교수는 “해킹을 위한 접속주소(IP)는 xx. 130. 122. 50로 접속한 국가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4년 전 기무사 요원들의 해킹 때 생겼던 트라우마가 되살아나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기 교수는 “중국 주소로 6일 동안 지속한 점으로 미뤄 단순히 재미 삼아 시도한 것이라기 보다 불순한 목적을 갖고 정보와 자료를 빼가려 했던 것”이라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북한 현대사 전공자로 조선대에서 16년 동안 몸담아왔고, 4년 전부터 조선대 사회과학연구원이 발행하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KCI) <동북아연구>의 편집위원장을 맡아왔다. 이 계정에는 한해 두차례 발간되는 <동북아연구>의 국제·남북·통일 관련 투고 논문과 심사서, 교신 문건, 각종 편지 등이 저장되어 있다.
그는 해킹을 시도한 이유를 북한을 자주 방문하는 연구자한테 관련 정보를 빼내려 했거나 학내 갈등, 논문 심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피해의식이 아직 남아있는데 또다시 유사 사건이 발생해 당혹스럽고 불안하다. 누가 했는지 가려내 처벌하고,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4년 전 2011년 8~9월 세차례 기무사 요원들한테 개인 정보를 해킹당한 피해자였다. 당시 국방부 조사본부는 조선대 교직원 웹하드를 해킹해 그의 인명파일과 연구자료 등을 빼간 혐의로 기무사 요원 4명을 구속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