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 분리처리 업체
반입 거부로 소동…어제 풀어
“일반쓰레기 40%나 섞여 비용이…”
시 캠페인 분주…“분리수거를”
반입 거부로 소동…어제 풀어
“일반쓰레기 40%나 섞여 비용이…”
시 캠페인 분주…“분리수거를”
충북 청주지역 쓰레기 가운데 재활용품을 분리 처리하는 업체가 일반 쓰레기가 섞인 재활용 쓰레기 반입을 거부하면서 쓰레기 사태가 벌어졌다. 청주시 재활용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ㄱ기업이 5일 재활용품 반입을 거부하면서 주변은 거대한 쓰레기장을 이뤘고, 6일 반입 거부를 풀어 재활용품 반입이 재개됐지만 여전히 불씨는 남았다.
ㄱ기업 쪽은 이날 “플라스틱, 유리, 고철 등 재활용품만 반입돼야 하는데 일부 시민들이 재활용품 쓰레기 안에 일반 쓰레기를 함께 집어넣어 혼합 비율이 40%에 이르고 있다.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크게 늘어 도저히 재활용 쓰레기를 반입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시가 중재에 나서 반입 재개가 이뤄졌지만, ㄱ기업은 일반 쓰레기 혼용 행태가 지속되면 반입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유익재 ㄱ기업 공장장은 “재활용품으로 분류됐던 폐비닐을 수거했던 업체들이 경제성 등을 이유로 폐비닐 수거를 중단하면서 비닐류와 재활용품을 섞어 내놓는 일이 많아졌다. 비닐 등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함께 수거해 센터에 가져오면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ㄱ기업 쪽은 지난해 11월 수거한 전체 쓰레기 1080t 가운데 326t이 재활용이 불가능한 일반 쓰레기였는데, 지난달엔 전체 쓰레기가 1164t으로, 재활용 불능 쓰레기는 486t으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종헌 시 자원정책팀장은 “환경부가 비닐류를 재활용 품목으로 분류해 재활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소각 처리하는 게 경제적일 수 있다. 환경부에 이를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시는 이번 쓰레기 수거 대란을 계기로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시민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읍·면·동 주민자치센터와 직능단체 등을 중심으로 분리수거 홍보에 나섰고,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 현장에 나가 분리수거 관리·감독을 진행할 참이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