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관련자 휴대전화·CCTV 분석
현장에 없던 8개시·군 주소록 추적
“엄정 수사…곧 사건 윤곽 드러날 것”
현장에 없던 8개시·군 주소록 추적
“엄정 수사…곧 사건 윤곽 드러날 것”
박종훈 경남도교육감 주민소환투표 추진운동이 중단된 것과 상관없이, 주민소환투표 청구서명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 불법서명 사건’ 수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김주수 경남경찰청 수사과장은 12일 “주민소환투표 추진운동 중단은 수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수사해 한점 의혹도 남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재까지 ‘대규모 불법서명 사건’과 관련해 경찰과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경남도선관위 단속반이 지난달 22일 불법서명 현장에서 압수한 서명용지는 적발되기 5일 전인 지난달 17일 ‘박종훈 교육감 주민소환운동본부’가 경남도선관위에서 받아 간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운동본부는 최대 50만명이 서명할 수 있는 5만부의 서명용지를 수령했는데, 불법서명 현장에선 서명용지 2200여부가 발견됐다.
선관위는 또 현장에서 경남도민 2만4537명의 이름·생년월일·주소가 적힌 출처 불명의 주소록도 압수했다. 주소록엔 경남 18개 시·군 가운데 창원, 김해, 거제, 통영, 함양, 합천, 거창 등 10개 시·군 주민들의 것이 시·군별로 별도 서류봉투에 담겨 있었다. 주소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가 모두 적혀 있었다.
불법서명을 하다 현장에서 적발된 4명은 주소록의 인적사항을 서명용지에 베끼면서, 서명용지에 옮겨 적은 사람에 대해선 주소록에 줄을 그어 표시했다. 선관위가 현장에서 압수한 서명용지엔 2507명의 인적사항이 적혀 있었으나 주소록에 줄이 그어진 사람은 4975명이었다. 서명일자는 단속일인 지난달 22일 이후에 서명한 것으로 조작된 것도 있었다.
이에 따라 경찰과 선관위는 현장에서 발견되지 않은 8개 시·군 주민들의 주소록도 어딘가에 있으며, 지난달 22일 적발되기 이전부터 불법서명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불법서명 관련자들의 휴대전화 통화내역 조회와 문자 복원 작업을 하고 있다. 불법서명 작업이 이뤄진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한 사무실 주변 폐회로텔레비전 영상도 지난달 11일치부터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곧 사건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도선관위는 지난달 22일 ‘대규모 불법서명’ 현장을 적발해 관련자들을 경찰에 고발했으며, 경찰은 관련자들을 출국금지시키고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박종훈 교육감 주민소환운동본부’는 투표청구서명 마감일을 하루 앞둔 지난 11일 서명운동을 종료하고 서명부를 선관위에 내지 않기로 결정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