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노선변경 없이 추진”…환경과학원 지적 무시
환경단체 반발
속보=경기도가 철새 번식지 파괴 논란이 제기된 경기 화성시 지방도로 건설사업(<한겨레> 7월20일치 13면)을 계획대로 강행키로 해 환경단체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환경단체는 특히 경기도가 국립환경과학원의 계획노선 변경요구를 무시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 건설본부는 19일 화성시 향남면 구문천리∼평택시 청북면 삼계리를 잇는 지방도 330호선 건설 공사를 노선변경 없이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건설본부 관계자는 “환경부의 자문 결과, 노선을 바꾸지 않는 대신 도로 개설 예정지역에서 공사 때 철새 산란기를 피하는 등 공사시기를 조절하면 철새 피해는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도의 이런 결정은 국립환경과학원의 여름철새 번식지 현지 조사 결과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어서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8월10일 화성시 향남면 산95번지에 대한 현지조사에서 “계획 노선에 따라 공사가 진행되면 번식지 일부 5∼10m가 직접 훼손되는 등 번식지 축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쪽은 이에 따라 “계획 노선을 번식지로부터 일정거리 옮긴 뒤 수목식재 등을 통해 완충지대를 조성하고 소음차단벽을 세워 철새서식지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당시 도로 확포장 공사지역은 국립환경과학원의 조사에서 황로 등 6종의 여름 철새 번식지로 사용되고 있고 백로류가 500쌍 이상 번식하는 등 번식지로서 보전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화성환경운동연합 이홍근 사무국장은 “경기도가 국립환경과학원의 명백한 조사내용을 무시한 채 도로개설을 강행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국립환경과학원의 결론에 따라 노선을 변경하는 것만이 철새 번식지를 보호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지방도 330호 확포장공사는 화성 향남면에서 발안산업공단과 서평택 입체교차로를 잇는 총 길이 3.5㎞, 너비 12m의 도로를 확포장하는 것으로 오는 2008년 준공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 환경단체들은 지난 7월19일 도로개설 예정지에서 ‘여름 철새를 위한 숲속의 음악회’를 여는 등 철새 번식지를 파괴하는 노선의 변경을 요구해왔다.
수원/홍용덕 기자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