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로 두면 교실 8개 부족”
유족쪽은 존치 요구 ‘평행선’
교육청 “합의 이끌어 내겠다”
유족쪽은 존치 요구 ‘평행선’
교육청 “합의 이끌어 내겠다”
세월호로 희생된 학생들이 사용했던 교실 존치 논란이 해결되지 않은 가운데 경기 안산 단원고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등이 10개의 교실을 재학생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했다.
학부모회 등으로 이뤄진 ‘단원고 교육가족’ 30여명은 2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졸업 때까지만 교실을 존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며 이렇게 요구했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 전까지 단원고 2학년 희생 학생들이 쓰던 10개 교실은 참사의 교훈을 잊지 말자는 취지에서 ‘기억 교실’로도 불린다.
이들은 “희생 학생을 추모하는 일에는 언제든 동참할 것이지만 학교는 희생된 학생들만 다녔던 곳이 아니라 다른 많은 학생들이 학업을 이어가는 곳이란 점을 우리는 간과했다”고 말했다.
이들이 집단 의견을 표명한 것은 단원고에 배정된 신입생 301명의 예비소집이 4일, 오리엔테이션이 16일로 예정된 상황인데도 교실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탓이다. 학교 관계자는 “단원고 교실 수는 40개인데 1·2학년이 12학급씩, 3학년이 14학급이라 38개 교실이 필요하다. 2학년 교실 10곳을 그대로 두면 8개 교실이 부족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 ‘기억교실’ 존치 여부 협의는 여전히 평행선이다.
지난해 경기도교육청은 교실 집기와 유품을 안산교육지원청으로 임시로 옮겼다가 학교 바로 앞 터에 ‘416민주시민교육원’(가칭)을 지어 이전·복원하는 안을 밝혔으나, 유족 쪽은 “(꼭) 추모를 위해서가 아니라, 4·16 이후 새로운 교육이 단원고에서 시작되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라며 기억교실의 존치를 요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의 정상화도 중요하지만 유족들의 뜻과 달리 강제적으로 교실 철거를 할 수도 없다. 최선을 다해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