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수, 교육장관에게
“영동대 개명 막아달라”
대학 “교명변경 추진 유보”
제천시는 세명대 잡으려
헌법소원 냈으나 기각 ‘침통’
“영동대 개명 막아달라”
대학 “교명변경 추진 유보”
제천시는 세명대 잡으려
헌법소원 냈으나 기각 ‘침통’
박세복(54) 충북 영동군수는 최근 이준식 교육부 장관에게 편지를 보냈다. 영동대학교가 학교 이름을 바꾸려 하는데 장관이 이를 막아 달라는 내용이다. 박 군수는 편지에서 “1994년 영동대 설립 때 군은 일방적 퍼주기라는 언론의 뭇매를 맞아가면서도 국민체육센터 건립 등 150억원이 넘게 지원했다. 하지만 영동대는 다음달 충남 아산에 제2캠퍼스를 개교하고, 교명까지 바꾸려 하고 있다. 장관이 군민들의 다급한 마음을 헤아려 흉흉한 지역 민심을 추슬러달라”고 부탁했다.
영동대는 다음달 영동 본교 5개 학과를 이전하고, 새로 1개 학과를 만들어 충남 아산에 제2캠퍼스를 개교할 참이다. 학교 이름도 ‘유원’(U1)대학으로 바꾸려고 최근 교육부에 교명 변경 승인 신청을 했다. 영동대 홍보팀 정보영씨는 “지난해 대학평가에서 D등급을 받고 컨설팅을 받았더니 이미지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지역 한계를 벗어나려는 뜻에서 교명 변경을 추진했다. 지역 학생 유출을 막고 수도권 학생을 유입시키려는 뜻도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군수가 편지를 보낸 이면엔 수도권 언저리로 캠퍼스를 옮기려는 ‘북진정책’을 사전 차단하려는 뜻도 있다. 지역 유일의 대학이 이전하면 지역 경제가 침체되고, 인구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영동군은 지난해 영동대 안에 ‘전입신고 창구’를 설치한 뒤 학생 845명을 군민으로 편입해 ‘인구 5만명 마지노선’(1월말 5만493명)을 가까스로 지켰다. 2014년에도 영동대 학생 600여명을 전입시켰다. 군은 학생들이 전입하면 상품권(20만원)을 주고 있다. 차미란 영동군 기획정책담당 주무관은 “대학이 가장 큰 인구 유입원이다. 대학이 떠나거나 규모를 줄이면 인구·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군의 만류에 영동대는 15일 오후 교명 변경 추진 계획을 유보하기로 했다. 채훈관 영동대 총장은 “교명 변경을 서두르지 않고 지역사회의 동의를 구하겠다. 교명이 바뀌어도 대학 중심은 영동 본교”라고 말했다.
제천시도 경기 하남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세명대를 잡으려고 헌법소원까지 냈다. 제천시는 세명대 등 지방대의 이전 근거가 되고 있는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이 헌법의 평등권 등을 침해했다며 헌법소원을 냈지만 지난달 5일 기각됐다. 세명대는 지난해 교육부에 대학 위치변경 승인 신청을 하고 대학 일부를 하남시로 이전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유재운 제천시 대학협력팀장은 “지역 경제 때문에 대학의 온전한 잔류가 절실하다. 헌법소원이 기각됐지만 주민과 함께 대학 이전을 막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