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부산 중구 중앙동 문화예술공간 ‘또따또가’ 근처 도로에서 밴드 공연을 감상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또따또가’ 입주 예술인 정착을 위한
건물주·예술인·시 협의체 구성키로
건물주·예술인·시 협의체 구성키로
옛 부산시 청사가 있었던 부산 중구 중앙동은 사람들로 늘 북적였으나 1998년 부산시청이 연제구 연산동으로 옮겨가면서 급격히 침체됐다.
이에 부산시는 중앙동 상권을 되살리기 위해 6·25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살았던 40계단 주변 22개 건물 74실을 임대해 2010년부터 문화예술 창작공간 ‘또따또가’를 만들었다. 또따또가에 무료로 입주한 예술인 355명은 작품을 수시로 전시했다. 수공예와 북카페 등 문화공간 5곳도 생겼다. 이 일대가 관광명소로 떠오르자 떠났던 상인들도 돌아오고 있다.
이젠 점포를 빌린 상인과 예술인들이 건물 주인으로부터 임대료를 올려달라는 요구를 받을까봐 불안해하고 있다.
부산시는 22일 또따또가 주변 세입자들이 임대료나 월세를 감당할 수 없어 다른 곳으로 떠나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을 막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건물주·예술인·부산문화재단·부산시·중구·전문가 등으로 꾸려진 협의체를 만들어 지속 가능한 원도심 문화거리 조성 방안을 찾기로 했다. 건물주는 임대기간에 임대료를 올리지 않고, 예술인은 지역문화예술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부산시와 중구는 문화거리 조성 지원을 약속하는 표준 협약을 만들기로 했다.
부산시는 또 임대료나 월세를 마구 올리지 않는 이른바 ‘착한 건물’을 선정해 실내공사비를 지원하고, 착한 건물을 매입하는 이에게 낮은 이율로 매입자금을 지원하는 등 혜택을 검토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1918년 건립된 옛 한성은행 부산지점 건물과 옛 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을 지난해 사들였는데, 이런 문화적 보전 가치가 있는 건물을 추가로 사들일 계획이다. 부산시는 또 건물주인과 세입자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면 조정·중재하는 조례를 만들 계획이다. 부산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또따또가뿐만 아니라 흰여울마을, 안창마을 등 젠트리피케이션이 우려되는 곳의 원주민과 영세상인 보호를 위한 장치 마련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