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가족-재학생 학부모 만나
‘대화 통한 해결’ 합의…견해차 여전
교무실 등 6개 공간 교실 공사 중
‘대화 통한 해결’ 합의…견해차 여전
교무실 등 6개 공간 교실 공사 중
세월호 희생 학생들이 쓰던 교실 존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컨테이너 교장실 등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교실 존치를 놓고 대립하는 경기 안산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들과 세월호 유가족들은 ‘대화를 통한 해결’에 합의했으나 양쪽의 견해차가 커 사회적 합의를 위한 자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4일 경기도교육청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23일과 21일 두 차례에 걸쳐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들과 세월호 유가족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단원고 ‘기억교실’(세월호 참사 당시 2학년 10개 교실과 1개 교무실) 존치 여부를 논의했다. 23일에는 양쪽의 요청으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도 참석했다.
양쪽은 서로의 견해차를 확인하고 대화로 문제를 풀기로 의견을 모았다. 세월호 유가족 쪽은 “교실의 영구존치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세월호 참사 이후 단원고에서 시작될 올바른 추모와 변화된 교육을 제시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재학생 학부모들은 “세월호 흔적 지우기가 아니라 재학생들이 정상적인 환경에서 교육받기를 바라는 것”이라며 새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기억교실을 정리할 것을 거듭 요구했다.
장기 단원고 학교운영위원장은 “(유가족 등과 만나) 교실 존치 문제를 놓고 서로의 입장을 확인했다. 결론은 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수시로 만나 대화로 문제를 풀어가자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단원고는 우선 임시대책으로 컨테이너 교장실(<한겨레> 2015년 12월8일치 6면) 등을 추진하고 있다. 부족한 교실을 채우기 위해 스쿨닥터실(상담실)과 함께 건물 옆 컨테이너로 옮겨지는 것이다. 현재 단원고는 1학년 신입생 300명이 입학하면서 8개 교실이 부족하다. 당장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교무실 2개, 음악실 1개, 컴퓨터실 1개 등 6개 공간을 교실로 바꾸는 공사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교실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근본적으로 사회적 중재가 필요하다는 요구도 나온다.
박래군 4·16연대 상임위원은 “유가족이나 재학생 학부모 모두 ‘아이들을 위한다’는 마음에서 첨예한 갈등을 줄이고 대화로 문제를 푸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장기 위원장은 그러나 “아직 명확한 입장이 정리되지는 않았지만, 우선 학교 안에서 희생자 교실 존치 문제를 매듭짓는다는 게 원칙이다. 재학생과 신입생의 교육받을 권리가 보장되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긴급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김기성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