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육대학 학생들이 총선을 앞두고 전국 8곳에서 한국사 국정 교과서 폐기와 누리과정 예산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은 18일 광주·서울·부산·전주·춘천·진주 등 전국 8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사 국정화 교과서 폐기와 공교육 정상화를 요구하는 예비교사 선언’을 발표했다.
교대련은 “교육부가 지난해 11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한 뒤 집필진과 편찬 기준도 공개하지 않고 밀실에서 교과서를 만들고 있다. 역사수업을 실제 맡아야 할 예비교사들은 정권의 입맛에 따라 내용이 바뀌는 역사를 가르칠 수 없다”고 밝혔다.
교대련은 “2014년에 나온 초등 5-2 사회 실험본에는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 교학사 교과서의 서술이 그대로 들어갔고, 올해 배포된 초등 6-1 사회에는 일본군 ‘위안부’, 5·18을 진압한 ‘계엄군’ 이라는 서술이 아예 빠져 버렸다”며 우편향을 우려했다.
교대련은 또,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편성의 영향으로 학교 시설비, 교육 지원비 등이 대폭 축소되어 학생들한테 피해가 돌아가고 있다. 경제 논리로 소규모 학교 통폐합 기준을 강화하면서 전남·전북·경북·강원의 농어촌 초·중·고 절반이 문을 닫을 위기에 내몰렸다. 지방교육재정 교부율을 현행 내국세 20.27%에서 25.27%로 올려 공교육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대련은 다음달 9일 서울에서 집회를 열고 이런 요구를 국민한테 알리기로 했다. 선거구별로 국회의원 후보에게 정책질의서를 보내 회신 받은 내용도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김문노 교대련 집행위원장은 “총선을 앞둔 한 달 동안 요구안에 대한 예비교사 1만명의 지지 서명을 받겠다. 국회의원 후보들의 답변이 오면 이를 선택의 기준으로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교대련은 전국 10개 교육대 총학생회와 한국교원대·이화여대·제주대 등 3개 대학 초등교육과 학생회로 구성됐다. 2013년 출범해 시간선택제 교사 도입을 비판하고 교육재정 효율화 방안을 반대하는 등 활동을 펼쳐왔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사진 전국교육대학생연합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