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지사 “배터리 등 가격 인하 필요”
‘바람으로 전기를 만들고, 바람으로 만든 전기로 가는 전기차.’
지난 18일 제주 서귀포시 천지연폭포 주차장에 마련된 급속충전기에서 전기차 충전을 하자 관광객들이 발길을 멈추고 신기한 듯 살폈다. 김아무개(48·인천)씨는 “충전시간과 주행거리는 얼마나 되나” “한 달 요금은 어느 정도 나오느냐”고 꼬치꼬치 물었다.
지난해 말까지 제주지역에 보급된 전기차는 2366대다. 전국에 보급된 전기차의 40%다. 제주에선 도로를 달리는 전기차를 보는 게 드문 일이 아닐 정도로 급속히 보편화하고 있다. 도는 올해 전국 보급량의 50%인 4000대까지 보급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없는 섬’(카본 프리 아일랜드)이란 목표를 이루는 데 전기차 보급이 필수적이라 보고 힘을 쏟고 있다. 2030년에 차량 37만여대를 모두 전기차로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전기차 보급 정책도 다른 지자체보다 앞서 있다. 매년 5월6일을 ‘전기차의 날’로 지정해 홍보에 나섰고, 지난해 8월에는 ‘전기차 보급 추진 및 활성화 조례’도 제정했다. 1대당 구매 지원금으로 1900만원(국비 1200만원, 지방비 700만원)을 지원하고, 충전기 1기당 400만원을 지원한다.
정보 보조금이 중단될 경우 보급 확산 여부, 공동주택 충전기 설치에 따른 민원 등은 넘어야 할 과제다. 원희룡 지사는 “전기차와 배터리 가격 인하가 필요하다. 기술적인 면과 시장 형성 측면에서 가격 인하 방안을 중앙정부 및 국내외 업체들과 논의하고, 배터리의 선순환 방안에 대한 모델을 제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허호준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