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간도 해안가처럼 특별관리
다음달까지 주민 의견청취키로
다음달까지 주민 의견청취키로
제주 지하수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 해안가 중심으로 이뤄져온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 지정이 앞으로는 중산간 지역으로 확대된다.
제주도 수자원본부는 해발 300m 이상 지역을 지하수 허가 제한구역인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계획안을 마련해 행정예고를 하는 등 도민의견 수렴 절차에 들어갔다고 22일 밝혔다.
수자원본부는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 지정을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한국수자원공사에 맡겨 지하수 함양량, 지하수 수질, 토지이용 현황 등 기초조사를 하고, 조사 결과 제시된 지정 예정 지역에 대해 전문가 토론과 지하수관리위원회의 자문 등을 거쳐 계획안을 확정했다.
현재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지하수가 너무 많이 개발된 것으로 평가돼 허가 제한이 필요했던 제주시 노형~신촌, 서귀포시 무릉~상모, 하원~법환, 서귀~세화(표선) 등 4개 지역 160㎢다. 이 지역에는 제주도 내 전체 지하수(4831공)의 49%(2383공)가 개발돼 있다.
수자원본부가 행정예고에 들어간 예정 지역은 해발 300m 이상 지역으로 지하수 가운데 질산성질소 농도가 자연상태인 1ℓ에 1㎎ 이하인 지역이며, 지하수 함양량도 해안 지역보다 41% 이상 더 많이 있는 지역이다.
수자원본부는 다음달 13일까지 누리집 전자공청회 게시판 등을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23일에는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토론회를 한다.
오창호 수자원본부 수자원경영부장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조사 결과 중산간 지역은 지하수 함양 및 깨끗한 제주 지하수의 수질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으로 확인됐다. 지하수 함양량 증대 및 지하수 수질 보전 등 제주 지하수를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산간 지역에 대한 지하수 허가 제한이 불가피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