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없이 해결 적임자 자처
‘희생자 재심사 반대’도 한목소리
‘희생자 재심사 반대’도 한목소리
제주4·3은 제주도 전체 인구의 10%(2만5000~3만여명)가 희생돼 도민 거의 모두가 직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다. 이에 따라 선거철마다 4·3 관련 공약이 주요 공약으로 떠오른다. 이번 총선에서도 후보들마다 4·3 문제 해결과 관련해 각종 공약을 내놓고 있다.
특히 선거일이 4·3과 비슷한 시기에 있어 후보들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 시도되고 있는 ‘4·3 희생자 재심사’ 언급 등 ‘4·3 흔들기’도 유권자들에게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제주도 내 여야 후보들은 모두 재심사에 반대하고 있다.
이번에는 4·3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배·보상 문제도 본격 거론되고 있다. 4·3진상규명운동이 본격적으로 벌어진 지 20여년 동안 잠복돼 있던 문제다. 후보들은 배·보상과 희생자 신고 상설화 등을 공약하고 나섰다. 여당 후보들은 유적지 기념사업과 유족회 지원을, 야당 후보들은 추가 진상조사, 수형인들에 대한 재심청구와 명예회복 등을 공약해 차이를 보인다.
제주시갑 선거구의 양치석 새누리당 후보는 “4·3 희생자와 유족을 위한 개별보상 조항이 들어가도록 4·3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강창일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4·3특별법을 개정해 국가 보상에 준하는 개인별 피해보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공약했으며, 장성철 국민의당 후보는 희생자 신고 상설화와 추가 진상조사 실시 등을 약속했다.
제주시을 선거구의 부상일 새누리당 후보도 4·3특별법 개정을 통한 개별적인 배·보상을 공약했고, 오영훈 더민주 후보도 희생자에 대한 국가 차원의 배·보상과 추가 진상조사를 내세웠다.
서귀포시 선거구의 강지용 새누리당 후보는 유족 기금과 확대 지원책 마련 등을, 위성곤 더민주 후보는 국가 배·보상 방식의 유족 지원 현실화 등을 약속했다.
4·3 유족들은 4·3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이 이뤄지려면 국가 차원의 배·보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지난 3일 제68주년 제주4·3추념식 자리에서 “4·3 해결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는 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 등을 필두로 산적해 있는 문제들을 단계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배·보상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지난달 3일 신임 유족회장에 취임할 때도 “진실이 규명되면 배·보상을 반드시 해야 함에도 이뤄지지 않았다. 피해자들이 겪은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돈으로 해결할 수 없지만, (유족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다소의 위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유족회는 4·3배·보상특별위원회도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