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지사, 조직 정비하는 등
연정 복원 위해 발빠른 움직임
작년 누리예산 처리때 극한대치
야 “남 지사 사과·신뢰회복 우선”
연정 복원 위해 발빠른 움직임
작년 누리예산 처리때 극한대치
야 “남 지사 사과·신뢰회복 우선”
20대 총선 이후 남경필 경기지사가 야권과의 ‘연정’ 복원에 발빠르게 나섰다. 중앙·지방의회에서 ‘여소야대’가 더 심화된 탓이지만, 지난해말 누리과정 예산을 처리하면서 여야 간 몸싸움 등 극한 대치를 했던 터라 연정 복원이 순조롭게 이뤄질지 주목된다.
20일 경기도의 말을 종합하면, 남 지사는 총선 이후 ‘연정2기’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조직 정비 등의 연정 복원안을 마련했다. 우선 현재 야당 추천을 받아 임명한 사회통합부지사의 소관 부서인 여성가족·환경·보건복지국 등 3개국을 행정1부지사 소관으로 옮기고 대신 실질적 협력이 필요한 교육협력국과 공정경제국 및 신설되는 연정협력국을 사회통합부지사 소관 부서로 두기로 했다. 또 총선 이후 25개의 새로운 연정협력정책을 선정해 여야 간 연정 협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남 지사는 앞서 19일 열린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도지사) 권한을 더 나누는 노력으로 연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남 지사는 “누리과정 예산을 정치적으로 처리한다”고 비난했던 이재정 경기교육감을 최근 2차례 직접 만나는 등 관계 복원도 꾀하고 있다.
남 지사의 기민한 연정 행보는 ‘여소야대’ 구도에 기인한 바가 크다. 전체 지역구 가운데 새누리당 의원 21곳, 민주통합당 등 야당 31곳이던 19대와 달리 20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 19곳, 더민주 등 야권 41곳으로 ‘여소야대’가 심화됐다.
보궐선거를 치른 경기도의회에서도 7명의 당선자 가운데 5명이 더민주, 2명이 새누리당 소속이었다. 이에 따라 총선 전 더민주 68석, 새누리당 50석이던 도의회 의석수는 총선을 통해 더민주 73석, 새누리당 52석으로 변해 야권 주도 형세가 더 강화됐다.
야당 일부에서는 “누리과정 어린이집 예산이 중앙정부와 박근혜 대통령 책임이라는 야당의 의견을 묵살하고 이를 밀어붙인 남 지사가 사과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한다. 틀어진 연정1기의 복원에 대한 견해차부터 연정 주체, 새 사회통합부지사 추천(올 6월 임기 종료) 등 세부 방안을 놓고서도 야권 내 의견이 갈리는 상태다. 더민주 김종석 의원(부천6)은 “들러리 연정이 아닌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 야당 도의원을 실국장에 임명하는 등 제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다.
같은 당 김유임 도의회 부의장은 “조만간 연정의 주체를 명확히 하고 연정의 범위와 관련 의제를 정리하는 내부 의견 수렴 작업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