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초대 민선 조직위원장을 누구로 할 것인지를 두고 넉달째 갈등을 빚었던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집행위원회가 김동호(79) 초대 집행위원장을 추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섯달 앞으로 다가온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10월6~15일)를 정상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다.
부산시는 4일 “이준승 부산시 시정혁신본부장과 강수연 집행위원장, 김지석 수석프로그래머가 지난 3일 김동호 전 집행위원장을 초대 민간 조직위원장으로 추대하자고 뜻을 모았다. 9일까지 민간 조직위원장 임기와 선출 방법 등을 반영하는 정관 개정 절차를 협의해 결과를 공식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강 집행위원장은 오는 10월 부산국제영화제를 치르기 위해선 칸영화제 개막일인 11일 이전에 새 조직위원장 합의추대를 공식화해 칸영화제 참가자들의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거부)을 막고 참가를 유도해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 양쪽은 칸영화제에서 세계 영화인들의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선언 등이 나온다면 부산국제영화제가 타격을 받을 것이란 걱정을 해왔다.
부산시와 집행위원회는 지난 2월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논란을 끝내기 위해 민간에 넘기겠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던 서병수 부산시장의 뒤를 이을 새 조직위원장을 누구로 할 것인지를 두고 줄다리기를 계속했다. 부산시는 안성기 부집행위원장을, 강 집행위원장은 김동호 전 집행위원장을 추천했다.
부산시는 김 전 집행위원장과 안 부집행위원장을 공동 조직위원장으로 추대하자는 중재안을 냈으나 안 부집행위원장이 거듭 거절한데다, 강 집행위원장도 반대하자 지난 3일 김 전 집행위원장 단독 추대에 동의했다.
김규옥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를 정상적으로 개최하려면 칸영화제가 열리기 전에 조직위원장을 합의추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강 집행위원장과 김 전 집행위원장이 투명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할 것으로 믿고 대승적 결단을 했다”고 말했다.
강 집행위원장은 성명을 내어 “영화계가 인정할 만한 분을 새로운 조직위원장으로 추대하자는 원론적 합의를 했지만 영화제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 방안에 관해선 아직 아무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아무쪼록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를 정상적으로 치르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총회에서 투표권을 가진 집행위원회 자문위원 수 등 나머지 핵심 쟁점 사안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가 끝난 뒤 내년 2월 정기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통해 풀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에서 물러나면 부산시는 정관 개정에 직접 관여하지 못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가 제동을 걸 수 있다. 관련 법에 따라 법인이 정관 개정을 하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