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파괴·해일 피해 등 우려에
도 “핵심사업…친환경 건설 추진”
환경단체는 매립 계획 철회 요구
도 “핵심사업…친환경 건설 추진”
환경단체는 매립 계획 철회 요구
대규모 매립을 전제로 한 제주신항만 개발 계획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제주도는 친환경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환경단체는 계획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공호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4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신항만 개발은 크루즈 관광객 유치와 제주지역 항만 물류난 해소 등을 위해 지난해 6월 해양수산부에 요청한 국책사업이고, 제주도의 핵심사업”이라며 “친환경적으로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제주도의 입장 표명은 해양수산부의 제주신항만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심의위원들이 해양 환경과 생태계 파괴, 용두암 조망권 훼손 등 여러 가지 우려를 나타내고, 심지어 건설 위치 변경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것이다. 제주도가 제주시 탑동 앞바다에 계획하고 있는 신항만 매립 면적은 129만6300㎡ 규모다. 이는 1990년대 초 제주사회에 커다란 논란을 일으켰던 탑동 매립 면적(16만4000㎡)의 8배에 가깝다. 대규모 해양 매립에 따른 환경 파괴와 어업권 피해 등 논란이 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 국장은 “매립이 진행되면 환경 피해는 있을 수 있지만, 그에 대한 조사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해양 환경 피해 우려와 관련해서는 피해 저감 방안 등을 마련하고 해양수산부와 협의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용담동 일대 월파 등 재해 피해 우려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까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사전에 재해 유발 요인을 예측·분석하기로 했다. 제주신항만 계획은 다음달 주민 의견 수렴과 설명회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12월 지정·고시가 이뤄진다.
그러나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신항만 건설은 환경·경제·재해 분야 등에 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 건설 필요성에 대해 도민 합의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절차를 진행시켜서는 안 된다”며 매립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도는 제주신항만 개발 총예산 2조8000억원 가운데 1조4000억원은 국비 예산을 확보하고 나머지 1조4000억원은 민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달 28일 해양수산부가 공개한 제주신항만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심의위원들은 대규모 매립에 따른 해양생태계 파괴와 심각한 어업권 피해, 해일 피해 등을 우려하고, 과도한 매립 면적의 산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