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세월호 참사 정부합동분향소에서 열린 ‘4·16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식’에 앞서 이날 오전 단원고에서 한 유가족이 휴대전화기로 학생들이 쓰던 교실 곳곳을 촬영하며 기록하고 있다. 안산/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단원고 ‘기억교실’ 이전 협약식
시설 건립 전까지 안산교육청 보존
갈등 중재한 김광준 사무총장
“아픔있는 사람 보듬는 세상 되길”
246명 학적 처리 뒤늦게 드러나
시설 건립 전까지 안산교육청 보존
갈등 중재한 김광준 사무총장
“아픔있는 사람 보듬는 세상 되길”
246명 학적 처리 뒤늦게 드러나
세월호 참사 당시 희생된 2학년 학생들이 사용하던 경기 안산 단원고 ‘존치교실’ 문제가 사회적 합의로 타결됐다. 지난 2월28일 국내 7대 종단의 모임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가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자 가족과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들의 중재에 나선 지 72일 만이다. 하지만 이날 일부 유가족들은 세월호 참사 흔적 지우기라며 여전히 반발했고, 희생 학생들이 학적에서 제적 처리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유가족 수십명이 단원고를 찾아 항의했다.
9일 오후 안산시 화랑유원지 내 정부합동분향소에서 ‘4·16 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서’ 협약식이 열려 존치교실을 안전교육시설이 건립될 때까지 안산교육지원청 별관에 잠정 이전하는 것에 합의했다. 협약식에는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남경필 경기도지사, 윤화섭 경기도의회 의장, 제종길 안산시장, 노선덕 안산교육지원청 교육장, 정광윤 단원고 교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서는 교실 임시 이전 외에도 4·16 안전교육시설의 건립 및 운영과 4·16 추모행사 개최 및 지원, 단원고 내 기억공간 조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안전교육시설은 단원고 바로 옆에 지하 1층~지상 4층 27실 규모로 2018년 9월 준공될 예정이며, 추모시설 11실, 관리시설 5실, 연수시설 9실, 편의시설 2실 등이 들어선다.
중재를 맡았던 한국종교인평화회의 김광준(60·성공회 신부) 사무총장은 “유가족들이 큰 양보를 했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아이들이 다녔던 단원고를 발전시키는 일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 아니냐’고 눈물로 유가족들에게 호소했다”며 “아픔 있는 사람들을 보듬는 세상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부 유가족 등은 이날 ‘자식을 잃은 부모의 마음을 아십니까’ 등의 팻말을 들고 협약식 내내 교실 보전 시위를 벌였다. 김 사무총장은 “전문가와 유가족들의 의견을 반영해 세부적인 교실 이전 일정은 협의 중이며 원형 그대로 옮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 246명이 전원 제적 처리된 것이 드러나면서 유가족 50여명이 단원고로 찾아가 항의했다. 단원고는 지난 2월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 246명(미수습자 4명 제외)을 제적 처리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생활기록부 제적 처리가 유가족과의 사전 협의 과정 없이 진행된 점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유가족에게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초중등교육법과 시행령 및 교육부 훈령(127호)은 ‘학생 사망시 학교장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적 서류를 받아 제적 처리한다’고 되어 있다.
안산/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