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명 아래면 조직·교부세 줄어
영동대 일부 이전으로 비상
“학생·군인 주소이전 포상금 인상”
영동대 일부 이전으로 비상
“학생·군인 주소이전 포상금 인상”
충북 영동군의 ‘인구 5만명 지키기’가 눈물겹다. 영동군은 지난해 말 5만693명이던 인구가 지난 3월 5만201명으로 줄었다가 지난달 말 5만311명으로 소폭 회복했다고 10일 밝혔다.
영동군의 인구 널뛰기는 대학생과 군인이 좌우한다. 지난 3월 영동대 아산(충남)캠퍼스가 문을 연 뒤 학생·교직원 등 600여명이 주소를 옮겨가면서 비상이 걸렸다. 군은 지난달 영동대 캠퍼스에 전입신고 창구를 별도 설치한 뒤 학생들의 전입을 유도해 62명을 전입시켰다. 지역 내 군부대에서도 전입신고 창구를 운영해 136명을 전입시키면서 가까스로 인구 5만명을 유지했다.
군은 인구 5만명 지키기 1등 공신인 군부대에 30만~200만원 주던 포상금을 50만~300만원까지 크게 인상하는 내용의 조례안 개정도 검토하고 있다. 대학생에게는 전입 시 20만원, 1년 뒤 10만원씩 주던 포상 상품권을 최대 160만원까지 늘리는 것도 검토 중이다.
일시적인 인구 늘리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에도 영동군이 대학생·군인 등에게 목을 매는 것은, 인구 5만명이 무너지면 행정자치부의 행정기구 정원 기준 등에 따라 14개 실국이 12개 실국으로 줄어들고, 인구 등을 기준으로 주는 보통교부세 등도 줄기 때문이다.
김해용 영동군 기획정책팀장은 “기구 2개가 줄면 공무원 40~50명이 줄고 예산도 삭감돼 대군민 행정서비스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상황이 급박해 대학생·군인 등에게 의존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인구 확대 정책도 마련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