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서 15㎞, 공주역서 20㎞ 거리
세종시 “500억 들여 간이역” 추진에
충북도 “세종시와 업무협약 취소”
공주시의회 “균형발전 저해” 반발
시민단체도 “세종시 건설취지 부정”
세종시 “500억 들여 간이역” 추진에
충북도 “세종시와 업무협약 취소”
공주시의회 “균형발전 저해” 반발
시민단체도 “세종시 건설취지 부정”
케이티엑스(KTX) 세종역 설치를 놓고 충북도와 세종시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최근엔 이웃 충남 공주도 세종을 공격하고 있다. 충남·북과 세종, 대전은 그동안 ‘충청권 공조’ 틀을 유지하며 수도권 규제완화 반대 등에 한목소리를 내왔지만, 세종역 설치 문제로 공조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충북도는 12일 하기로 한 ‘충북·세종 상생 업무 협약 체결’을 취소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충북도는 “세종시 쪽과 보령~울진 동서 5축 고속도로 건설, 미호천 공동개발, 농산물 교류 등을 논의하기로 했지만 세종역 문제에 부딪혀 협약 체결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충북도는 세종역 설치 후보지 지척(15~20㎞)인 오송역의 기능이 약화한다는 이유 등으로 세종역 설치를 반대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세종시가 탄생할 때 오송역이 세종시 관문역 역할을 하기로 했다. 세종역 설치와 관련해 우리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대전·충남 등과 공조를 잘 해야 한다. 이 일로 충청권 공조와 상생 발전이 깨지지 않도록 세종시를 잘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해찬(64·무소속) 의원이 지난 총선에서 세종역 설치를 공약한 데 이어 이춘희 세종시장까지 나서 세종역 설치 필요성을 밝히자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이 시장은 지난달 21일 언론 브리핑에서 “케이티엑스 세종역 설치 논의를 본격화하겠다. 세종과 대전 서북부 수요를 고려하면 이제 수면 위에서 논의해야 한다. 500억원 안팎으로 역사를 설치해 간이역 형태로 운영하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며 한발 더 나갔다.
충남 공주 쪽도 세종역 설치에 반대하고 나섰다. 공주시의회는 지난 10일 세종역 신설 반대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지역 균형발전을 저해하고 지역간 갈등을 조장하려는 세종역 신설을 중단하라. 세종역(후보지)은 오송역에서 15㎞, 공주역에서 20㎞ 떨어져 있어 케이티엑스 적정 거리인 40㎞에 미달해 고속열차 운행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린다”고 밝혔다.
균형발전지방분권본부 등 시민단체들도 세종역 설치에 부정적이다. 이두영 세종시 정상추진 충청권공동대책위원회 운영위원장은 “세종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에도 없었다. 세종시는 역을 설치해 인구·자원을 집중할 게 아니라 주변인 청주, 대전, 공주, 천안 등과 기능·역할을 분담하고 상생해 균형발전의 거점이 돼야 한다. 국무총리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으로 세종시 설치의 두 주역인 이 의원과 이 시장이 세종역 설치를 주장하는 것은 세종시 건설 취지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