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폐원 끝에… 6월 중 개원 목표
작년 선정 뒤 중도포기 전력 부담
청주노인병원 해고노동자 60여명
“고용승계가 병원 정상화 첫걸음”
작년 선정 뒤 중도포기 전력 부담
청주노인병원 해고노동자 60여명
“고용승계가 병원 정상화 첫걸음”
1년 가까이 폐원된 청주시노인전문병원의 새 위탁 운영자로 청주병원이 뽑혔다. 청주병원은 지난해 시의 2차 공모 때 위탁 기관으로 뽑혔지만 중도 포기한 터라 병원 정상화를 이끌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충북 청주시는 청주시노인전문병원 민간 위탁 운영자 적격 심사 결과 청주병원을 민간 위탁 운영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심의위는 이날 청주병원 등 2곳의 사업설명회를 듣고 심의위를 열어 청주병원을 낙점했다. 시는 “청주병원이 앞으로 4년 동안 노인병원을 위탁운영한다. 5월 안에 협약을 하고, 6월 중 개원을 목표로 병원 운영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청주병원은 내과·외과·성형외과·신경정신과 등 4개과 270여 병상을 운영하고 있는 청주지역 중견 병원이다. 새 통합시청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청주시는 청주병원 매입을 검토하는 등 병원과 가깝다. 하지만 지난해 5월 2차 공모 때 수탁 예정자로 선정됐다가 20여일 만에 수탁 포기 선언을 하면서 청주시노인전문병원 폐원(2015년 6월5일)의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는 점은 부담이다. 청주병원은 당시 “노인병원을 수탁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니다. 노조와 만나 협의했지만 교섭 대상자 지정 등 이견이 컸다”고 밝혔다.
청주시청 앞에 천막을 치고 376일째 아침·저녁 집회를 열고 있는 노인전문병원 노동조합은 해고 노동자 60여명의 고용 승계가 병원 정상화의 첫걸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권옥자 공공운수노조 청주시노인전문병원 분회장은 “시의 무능 행정이 병원 폐원, 4차례에 걸친 공모, 수탁자의 재수탁, 엄청난 시민 불편 등의 문제를 불렀다. 무엇보다 폐원 전 노동자의 복직과 고용승계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와 함께 노숙·단식 투쟁을 하며 병원 정상화를 촉구해온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노인전문병원의 개혁을 촉구했다. 이들은 오는 31일 청주시노인전문병원 관련 시민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양준석 행동하는 복지연합 사무국장은 “노인병원은 주민 세금이 들어간 공공 병원이다. 병원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를 만든 뒤,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방안을 마련해 시민의 병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2009년 시가 예산 157억원을 들여 문을 연 노인병원은 위탁운영해온 ㅎ, ㅅ병원이 경영난 등을 이유로 잇따라 운영을 포기하면서 지난해 폐원돼 환자 140여명이 주변 병원으로 분산 배치됐다. 이후 시는 3차례 수탁자 공모에 나섰지만 모두 무산됐다. 1차 때는 적임자가 없었고, 2차(청주병원), 3차(의명의료재단) 때는 선정 기관이 모두 중도 포기해 수탁 계약에 이르지 못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