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우(왼쪽 둘째) 충북교육감과 학생·학부모·교사 등 교육 세 주체들이 31일 교육청에서 충북교육공동체헌장을 낭독하고 있다. 충북교육청 제공
김병우 충북교육감·학부모 등 참여
학생·학부모·교직원 권리·책임 담아
“학교폭력 등 인성문제 해결 디딤돌”
새누리·보수교육단체 등 규탄·집회
“김 교육감 직권면직 주민소환” 반발
학생·학부모·교직원 권리·책임 담아
“학교폭력 등 인성문제 해결 디딤돌”
새누리·보수교육단체 등 규탄·집회
“김 교육감 직권면직 주민소환” 반발
교육의 세 주체인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의 권리와 책임 등을 담은 충청북도 교육공동체 헌장이 선포됐다.
충북교육청은 31일 교육청 인터넷방송(tv.cbei.go.kr)을 통해 헌장 추진 배경 등을 설명하고 헌장을 선포했다. 김병우 충북교육감과 교육 세 주체 대표 등은 ‘공동체 나무’에 ‘존중·배려·인성·공감’의 물을 주는 행위극을 선보였다. 김 교육감은 이날 청주고에서 열린 헌장 선포식에도 참여해 “학교 구성원들이 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킬 아름다운 약속을 만들고 싶었다. 헌장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이 서로 존중하며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어가는 디딤돌”이라고 말했다.
헌장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의 권리와 책임 등을 담은 11가지 항목과 32가지 실천규약으로 이뤄졌다. 지난 4월 초안, 지난달 10일 수정안, 25일 최종안을 내는 등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보수성향 교육단체와 새누리당 등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충북교육사랑학부모협회 등으로 이뤄진 충북교육시민사회단체협의회 회원 100여명은 이날 오전 충북교육청 앞에서 헌장 선포 규탄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아이들을 특정 이념의 시험 대상으로 할 수 있는 헌장을 폐기하라. 김 교육감의 직권면직을 위한 주민소환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새누리당 윤홍창·정영수·김양희·이종욱 의원은 “학교 현장 구성원들의 자율적 운용 권한을 침해한 헌장 선포 강행을 규탄한다. 김 교육감의 일방적이고도 이념편향적인 행태가 시정되지 않으면 도민의 동의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황동민 충북학교운영위원회 도협의회장은 “헌장 제정을 프랑스 68혁명에 빗대는 등 이념 논란으로 끌고 가는 보수단체들의 행태에 동의할 수 없다. 제정 과정에서 학운위 등의 의견을 두루 수렴하지 않는 등 절차상의 문제가 있지만, 헌장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 세 주체가 서로 존중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교육청 지부도 성명을 내어 “헌장이 우리 교육 현실에 대한 반성이며 새로운 희망의 시작이란 점에서 환영한다. 교육감은 헌장이 실질적으로 소외와 차별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라”고 말했다.
김성근 충북교육청 혁신담당 서기관은 “헌장 내용상의 문제나 건강한 비판은 언제나 듣고 수용하겠다. 하지만 정치적 악용이나 근거 없는 비난은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또 “헌장이 학교폭력·왕따 등 인성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이 자존감을 회복해 자기주도적인 미래 학력을 키우는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헌장은 좋은 토론을 위한 제안서다. 학교 현장에 맞게 협의를 통해 생활협약을 세우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충북교육시민사회단체협의회 회원 100여명이 31일 오전 충북교육청 앞에서 충북교육공동체헌장 선포를 규탄하고 있다. 충북교육시민사회단체협의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