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꾸리고 “민간개발 중단”
9곳 모두 아파트 건립 추진중
9곳 모두 아파트 건립 추진중
충북 청주의 도시공원을 지키려는 시민운동이 시작됐다. 두꺼비친구들 등 충북지역 환경·시민단체 33곳은 8일 ‘청주 도시공원 지키기 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이들은 발족 성명서에서 “청주시는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 해결 방안으로 도심내 근린공원을 민간 개발해 숲을 훼손하고 있다. 시는 도시공원 민간 개발 사업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이 낸 자료를 보면, 청주지역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9곳에서 민간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9곳의 면적은 284만5388㎡이며, 법에 따라 이 가운데 30%인 85만3616㎡를 개발해 비공원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9곳 모두 아파트 건립(1만3349가구)이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비만 3조3070억원대에 이른다. 이 가운데 영운·잠두봉·새적굴·매봉공원 등 4곳(84만1081㎡)은 이미 개발 승인이 나 아파트 건립(4617가구)이 진행되고 있다. 월명·61호근린 공원은 불수용 결정이 났지만, 원봉공원(보류)·구룡산공원(제안서 검토) 등은 진행형이다.
대책위는 민간 개발 사업 유보를 위한 시민 청원운동과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 도시숲 보전 법률 제정, 도시숲 지키기 트러스트 운동, 도시숲 보전을 위한 전국 네트워크 구성 등을 추진할 참이다.
박완희 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은 “대기질 전국 최하위권인 청주는 도시숲을 지켜 산림과 깨끗한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데 거꾸로 도시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파트 중심의 개발을 강행할 게 아니라 시민과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정창수 청주시 공원녹지과장은 “일몰제로 2020년이면 모두 공원이 해제돼 난개발이 될 수 있다. 30%를 개발에 내주고 70%를 지키는 게 합리적일 수 있다. 지금 개발 승인된 4곳은 도시공원위원회 심의 등을 거쳤고, 이 가운데 3곳은 사실상 수림대가 형성되지 않은 곳이어서 숲 파괴 우려가 적다. 나머지 5곳도 적정 심의를 거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