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초 밀양시 상동면 고답마을 115번 송전탑 아래에서 주민들이 송전탑 시험전송을 막기 위해 눈을 맞으면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밀양 765㎸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제공
공사강행 2년 맞아 11일 행사
전국서 온 150명 현장 둘러보고
주민과 도곡저수지서 문화제도
전국서 온 150명 현장 둘러보고
주민과 도곡저수지서 문화제도
벌써 2년. 주민 2명이 목숨을 바치면서까지 막으려 했지만, 결국 공권력으로 반대 목소리를 찍어누르고 경남 밀양 초고압 송전탑 건설 공사를 밀어붙인 지 11일이면 2년을 맞는다.
‘밀양 765㎸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9일 “2년 전 국가가 밀양 주민들을 상대로 벌인 폭력행위였던 밀양 송전탑 농성장 행정대집행을 결코 잊지 않기 위해 ‘밀양 송전탑 6·11 행정대집행 2주년 기념행사’를 11일 밀양 전역에서 연다”고 밝혔다. 밀양 초고압 송전탑 건설에 반대해 전국에서 모인 150여명은 11일 765㎸ 송전탑을 둘러본다. 이들은 ‘할매팀’과 ‘할배팀’으로 나눠, 아침 9시부터 각각 부북면 위양마을 사랑방과 단장면 동화전마을 사랑방에서 출발해, 농성장이 있었던 부북면 평밭마을 129번, 부북면 위양마을 127번, 상동면 고답마을 115번, 단장면 용회마을 101번 송전탑을 둘러볼 계획이다. 저녁 7시엔 상동면 도곡저수지에 모여 지역 주민들과 함께 ‘6·11 행정대집행 2주년 기억 문화제’를 연다.
이계삼 대책위 사무국장은 “2014년 6월11일 벌어진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은 대부분 70대 이상 노인인 주민들에게 2천여명의 경찰병력이 저지른 국가폭력의 극단이자, 야만의 극치였다. 이 결과 많은 주민이 불안과 우울증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으나, 정부는 경찰 73명을 포상하고 10명을 특진시키는 등 잔치를 벌였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날 행정대집행 이후 국회가 심야 및 새벽 시간 행정대집행 제한을 뼈대로 하는 행정대집행법 일부 개정을 의결하고, 지난달 27일 ‘신울진-신경기 765㎸ 송전선로 사업’을 포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전력은 울산 울주군 신고리원전 3·4호기에서 생산할 전기를 경남 창녕군 북경남변전소로 보내기 위해 울산 울주군, 부산 기장군, 경남 양산·밀양시와 창녕군 등 5개 시·군 90.5㎞ 구간에 밀양 69개 등 송전탑 161개를 세우고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765㎸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2008년 착공해 2014년 말 완공했다. 이 과정에서 밀양 주민들은 주민 2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383명이 입건되는 등 송전탑 건설을 막기 위해 송전탑 예정지에 농성장을 설치하고 강력히 투쟁했다. 송전탑 건설이 끝난 지금도 193가구 302명의 주민은 한전 합의금 수령을 거부하며 여전히 투쟁하고 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